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4 No.2 pp.79-90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16.34.2.079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iobenthic Community in Gamak Bay in the South Sea, Korea

Heegab Lee
, Won Gi Min, Hyun Soo Rho, Je hyeok Oh1, Dongsung Kim
1*
East Sea Research Institute, KIOST, Uljin 36315, Korea
1Marine Ecosystem Research Division, KIOST, Ansan 15627, Korea
Corresponding author: Dongsung Kim, 031-400-6212, 031-408-5934, dskim@kiost.ac.kr
April 22, 2016 June 21, 2016 June 23, 2016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seasonal vari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eiobenthic community of Gamak Bay (one of the major bays of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Total of 6 surveys of 10 stations took place, once in February, June and October of 2009 and through 2010. Community structure, taxon diversity (H′) and nematodes/copepods ratio of meiobenthos were studied in Gamak Bay. During the study period, nematodes and harpacticoids were the most dominant taxa among the meiofaunal groups in Gamak Bay. Taxon diversity (H′) was the highest at the outer stations and the lowest at the inner stations in the Gamak Bay. The nematodes/copepods ratio was seasonally studied as an index of pollution monitoring for the benthic ecosystem at each station. As a result, nematodes/copepods ratio was the highest at the inner stations and the lowest at the outer stations in Gamak Bay.


남해안 여수 가막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분포 특성

이 희갑
, 민 원기, 노 현수, 오 제혁1, 김 동성
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 해연구소
1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태계연구부

초록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E99414
    PM59050

    서 론

    가막만은 동서 방향의 길이가 9 km, 남북 방향의 길이가 15 km인 달걀 모양의 만으로서, 표면적이 112 km2, 해수용적 10.2×108 m3, 내만의 평균 수심이 약 9 m, 대조차는 약 3 m 인 해역이다. 가막만은 여수반도 남단에 위치하여 동쪽으로 돌산도, 서쪽으로 고돌산반도, 남쪽으로는 개도 등 여러 섬들 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반폐쇄적인 해역이다. 만 내의 해수는 여수항과 돌산도 사이의 북쪽 협수도 그리고 돌산도와 개도 사이의 남쪽 입구를 통하여 출입한다 (Kim et al. 2012). 생물 생산성이 높아 예로부터 다양한 양식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 는 해역이다. 북서쪽 내만역과 북동쪽 대경도를 중심으로 각 각 수하식 홍합양식과 살포식 피조개양식이 이루어지고 있 고, 만 중앙부에는 굴양식장이 산재해 있으며, 해수소통이 원활한 만 남쪽 입구부에 위치한 도서 해역에서는 가두리 어류양식이 집단화되어 있다. 북서쪽 내만역을 중심으로 일 부 해역은 생활하수와 양식부산물 등에 의해 부영양화가 진 행되어 고 수온기에는 저층해수에 빈산소층 형성과 적조발 생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해역이기도 하다 (Yoon 1995).

    그동안 가막만에서 진행되어 온 연구는 주로 수질 변동 특 성, 퇴적물 내 유기물의 변동 특성 등 물리·화학적인 연구 가 주를 이뤘으며, 저서생물에 관한 연구는 대형저서생물 연 구로만 국한되어 왔다 (Kim et al. 2006; Kim et al. 2010; Kim et al. 2011; Kim et al. 2012). 대형저서생물뿐만 아니라 저 서생태계 내에서 생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중형 저서동물은 대형저서생물에 비해 몸의 크기는 작지만 퇴적 물 내에서 매우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천해 계의 퇴적물에서 약 105~106 ind.m-2). 또한 중형저서동물에 속하는 주요 종들은 전 생활사를 퇴적물 안에서 보내고 서식 을 위해 비교적 안정된 환경을 요구하며 세대 기간이 짧기 때문에 대형저서동물에 비하여 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짧은 기간에도 군집의 변화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Sandulli and De Nicola 1990). 이러한 생태적인 유용성과 중요성들로 인 하여 국외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Hargrave and Thiel 1983; Warwick and Clarke 1991; Coull and Chandler 1992), 대형저서동물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미흡한 실정 으로 본 연구지역인 가막만에서 중형저서동물에 관한 연구 는 단 한차례의 연구만이 진행되어 미약한 실정이다 (Kim et al. 2000).

    본 연구는 가막만의 저서생태계 파악을 목적으로 양식장 인근 지역, 주변 도시로부터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지역, 하 수처리장이 위치해 있는 만 안쪽 지역과 이와 대조적으로 오 염원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만 입구 지역으로 구분하여 계절별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지역 적인 공간분포 특성 연구를 통해 가막만의 저서생태계를 파 악하고,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 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 법

    시료의 채집은 전라남도 여수에 위치한 가막만을 대상으 로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월, 6월, 10월에 총 6회 채집하 였다 (Fig. 1). 시료 채집 정점은 가막만 내 총 10개 정점으로 만 내측 지역인 하수처리장 및 생활 오폐수가 유입되는 지 역, 양식장이 밀집된 지역과 상대적으로 육상 오염원으로부 터 먼 거리에 위치한 만 입구 정점을 선정하여 채집하였다 (Table 1).

    중형저서동물의 시료 채집을 위해 Smith McIntyre grab 을 이용하여 각 정점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고, 직경 3.6 cm 크기의 주사기 (syringe) 코어를 이용하여 정점당 3개 의 반복시료를 채집하였다. 현장에서 채집된 퇴적물 시료는 표층으로부터 깊이 5 cm까지 conical tube에 담아 로즈 벵갈 (rose bengal)을 혼합한 5% 중성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연구 실로 운반하였다. 운반된 시료는 실험실에서 1 mm 체를 통 과하고 37 μm 체에 남겨진 시료를 Silica-gel Ludox HS-40에

    넣어 원심분리하여 밀도 차이에 의한 생물 분리 방법을 이용 하여 중형저서동물을 분리하였다 (Burgess 2001). 퇴적물과 분리된 중형저서동물은 각 크기의 체 (500 μm, 250 μm, 125 μm, 63 μm, 37 μm)로 크기별로 걸러내어 해부현미경과 광학 현미경 하에서 동정하여 문 준위의 분류군은 Giere (1993)Higgins and Thiel (1988)에 따라 분류하였다. 각 분류군의 생체량 분석은 Shirayama (1983)의 중형저서동물의 주요 분 류군별 개체당 ash free dry weigh (μg) 환산값을 사용하였다.

    환경요인의 측정은 중형저서동물의 채집과 동시에 퇴적물 온도계 (SATO PC-9200)를 통해 퇴적물 온도를 측정하였으 며, CTD (SBE-19)를 이용하여 수심과 pH를 측정하였다.

    각 정점의 군집 다양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도 지수 (Diversity Index)를 Shannon and Wiener (1963)의 계산법에 따라 구하였고, 채집 시기별로 중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Bray-Curtis의 유사도 지수를 기초로 집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소수 출현 분류군에 의한 유사도 지 수의 과대 평가를 낮추기 위해 모든 자료는 square root로 변 환하였으며, 중형저서동물 출현 분류군별 개체수 밀도 자료 를 이용하여 MD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배 열법을 통해 표기하였다. 그리고 구분된 각 그룹 간의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파악을 위해 SIMPER (similarity percentages procedure)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군 집분석 통계패키지인 PRIMER (v. 5.0)를 이용하였다. 중형 저서동물 군집 구조의 주요 요인들이 시간과 정점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wo-way ANOVA test를 실시 하였다 (SPSS 12.0).

    결과 및 고 찰

    1.저서환경

    조사지역인 가막만의 수심은 정점별로 평균 5.4~19.7 m 의 수심을 나타냈다. 만 내측 정점 2에서 평균 수심 5.4 m로 최소의 수심을, 만 입구 정점 5에서 평균 수심 19.7 m로 최대 의 수심을 각각 나타냈다 (Fig. 2). 퇴적물 온도는 겨울철인 2010년 2월에 평균 17.2°C로 가장 낮았고 가을철인 2009년 10월에 20.9°C로 가장 높았으며, 정점별 평균 수온은 만 입 구 남측에 위치한 정점 3에서 17.8°C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H의 경우 정점별로 평균 6.6~8.0으로서 여수시와 인접한 정점 6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고, 만 입구 남측에 위치 한 정점 8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계절별 평균 pH는 6.9~7.7로 겨울철인 2월에 가장 낮았고 여름철인 6월에 가 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Fig. 2).

    Kim et al. (2000)에 의해 가막만에서 조사된 결과를 따르 면,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7.7 Ø를 나타내 세립질의 퇴적상 을 나타냈으며, 만 입구에서 만 내로 갈수록 세립해지는 경 향을 나타냈다. 퇴적물 내 총 유기탄소량은 평균 1.2~1.5% 범위를 보였으며, 계절적인 변동이 적지만 만 내 북단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저층 용존산소량은 여름철 만 내 일부 정점들에서 3 L-1로 나타나 빈산소수괴가 형성되었고 특히, 만 입구 쪽에서 만 내측으로 갈수록 저층의 용존산소 가 급감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Kim et al. 2000).

    2.중형저서동물의 상위 출현분류군 조성

    본 연구의 조사지역인 가막만의 10개 정점에서 출현한 중 형저서동물로는 총 23개의 상위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시기 별 상위 출현분류군수를 살펴보면 2009년 2월 평균 6개 출 현분류군수를 나타냈으며, 2009년 6월은 평균 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2월과 비교하여 평균 출현분류군수는 다소 감소 하였지만, 외해수와 소통이 원활한 지역인 만 입구 정점들이 만 내측 정점들보다 높은 출현분류군수를 나타냈다. 2009년 10월은 평균 4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조사 시기 중 가장 낮은 평균 출현분류군수를 나타냈으며, 6월과 유사하게 만 입구 정점이 만 내측 정점에 비해 높은 출현분류군수를 나타냈다 (Table 2). 2010년 2월의 출현분류군수는 평균 7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2010년 6월은 평균 8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전체 조사 시기 중 가장 높은 평균 출현분류군수를 나타냈 다. 2010년 10월은 평균 7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만 입 구 정점이 만 내측 정점보다 높은 출현분류군수를 나타냈다 (Table 3). 가막만의 중형저서동물의 출현분류군수 분포 경 향은 2월은 만 입구 정점보다 만 내측 정점에서 높은 출현 분류군수를 나타냈지만 6월과 10월은 만 내측 정점보다 만 입구 정점에서 출현분류군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Kim et al. (2000)에 의해 가막만에서 조사된 결과에 따르면 만 안쪽 정점에서 외해와 인접한 만 밖의 정점으로 갈수록 출현분류군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본 연구 또한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지역인 가막만에서 조사된 다양한 연구결과에 따 르면 가막만의 북쪽과 북동쪽으로부터 주변 생활하수와 구 여수시의 생활하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지형적인 특성 과 부영양화 등에 의하여 북서 내만을 중심으로 하절기에는 빈산소 현상이 나타난다. 빈산소수괴는 수온약층이 형성되면 서 발달하게 되며 표층과 저층 간의 해수 혼합이 차단된다. 따라서 하부에는 용존산소 공급이 차단되며, 또한 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용존산소는 소비되기 때문에 하계에 북서 내만 역에서는 용존산소의 부족 또는 고갈을 초래한다 (Kim et al. 2011). 특히 가막만은 하계에 북서 내만 역을 비롯하여 만 내측 정점들은 용존산소가 1 L-1 이하로 낮아지는데 (Yoon et al. 2007) 일반적으로 용존산소는 해수 중 용존산소가 4 L-1 이하가 되면 유영생물들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3 L-1 이 하가 되면 조개류 등이 폐사하기 시작하며, 2 L-1 이하가 되 면 대부분의 해양생물들이 피해를 입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ekine et al. 1995). 이처럼 만 내측 지역이 조사 시기 중 6 월과 10월에 만 입구 지역에 비해 상위 출현분류군수가 감 소한 것은 계절적인 변동에 의한 결과인지 북서 내만 역에 서 하절기에 발생하는 빈산소수괴 형성과 상대적으로 육상 오염원으로부터 인접한 위치에 있어 이와 같은 영향을 받는 것인지는 퇴적물의 중금속 분석, 유기물 분석 등 다양한 조 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중형저서동물의 우점 분류군 조성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그룹 중 선충류 (nematodes) 가 가장 우점하여 출현한 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저 서성 요각류 (benthic harpacticoids), 유공충 (sarcomastigophorans), 다모류 (polychaetes), 요각류 유생 (copepods nauplius), 동문동물 (Kinorhynchs) 순으로 높은 출현을 나타냈 다. 선충류는 일반적으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중에서 다른 분류군보다 서식밀도가 높으며, 종 다양성 또한 높은 분류군 으로 알려져 있다 (James and Mark 2004). 그리고 지금까지 중형저서동물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의 해역에서 선충류와 함께 저서성 요각류, 편형동물 (platyhelminthes), 동문동물, 완보동물 (tardigrades), 복모동물 (gastrotrichs)이 주로 나타 나며, 이들이 대표적인 해양성 중형저서동물 분류군들로 알 려져 있다 (Dorris et al. 1999). 본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나 특히 선충류의 출현 비율이 조사기 간 동안 평균 90% 이상을 차지하는 높은 값을 나타냈다. 서 해 장봉도의 사질 지역에서 나타난 선충류의 출현 비율이 약 75%, 통영 가두리 양식장 지역에서 나타난 선충류의 출 현 비율이 약 63%, 시화호 지역에서 나타난 선충류의 출현 비율이 약 42% 등과 비교하여도 높은 출현 비율을 나타냈으 며, 이와 같은 결과는 다른 연구와 비교하여 가막만 지역에 서 나타난 특징적인 결과로 생각된다.

    4.주요 우점 분류군의 공간분포 특성

    만의 안쪽에 위치한 정점과 해수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원 활한 만의 입구 정점 간의 우점 분류군 서식밀도, N/C ratio, 출현분류군수, 분류군 다양도 지수 (H′)를 비교한 결과 2009 년 2월은 우점 분류군인 선충류와 저서성 요각류의 평균 서 식밀도가 만 안쪽 정점들이 만 입구 정점과 비교하여 상대적 으로 약 5~7배 높게 나타났다 (Fig. 3). 또한 N/C ratio 값이 만 입구 정점이 만 안쪽 정점과 비교하여 약 4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분류군 다양도 지수 (H′)와 출현분류군수는 만 안쪽 정점이 만 입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다. N/C ratio 는 일반적으로 연구지역에서 각 지역별로 상대적인 오염도 를 비교하기에 수월한 지수이며, 다른 많은 오염과의 상관관 계를 다루는 방법에 비해 쉽고 간단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 법이다. N/C ratio 값이 높을수록 오염이 많이 진행되어 짐 을 의미한다 (Coull et al. 1981; Raffaelli and Mason 1981; Warwick 1981; Raffaelli 1987). 반면 6월과 10월은 다른 경 향성을 나타냈다. 최상위 우점분류군인 선충류의 평균 서식 밀도는 만 안쪽 정점이 만 입구 정점보다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내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냈지만 저서성 요각류는 만 입 구 정점이 만 안쪽 정점에 비해 약 10배 이상 높은 서식밀도 를 나타냈다 (Fig. 3). 또한 N/C ratio가 만 입구 정점에 비해 만 안쪽 정점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분류군 다양도 지수 (H′) 와 출현분류군수가 만 입구 정점이 만 안쪽 정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6월과 10월은 만 안쪽 정점에서 일부 우점 분 류군 외에 다른 분류군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하며, 오염도가 만 입구 정점들에 비해 높았다 (Table 2).

    2010년 2월은 우점분류군인 선충류와 저서성 요각류의 평 균 서식밀도가 만 안쪽 정점들과 만 입구 정점들이 큰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N/C ratio 값과 분류군 다양도 지수 (H′) 또한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Table 3). 반면 6월은 선충 류와 저서성 요각류의 평균 서식밀도가 만 안쪽 정점들이 만 입구 정점들과 비교하여 약 3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냈으 며 (Fig. 4), N/C ratio 값이 만 안쪽 정점들이 만 입구 정점들 에 비해 약 11배 높은 값을 나타내 만 안쪽 정점들의 오염도 가 높게 나타났다. 출현분류군수와 분류군 다양도 지수 (H′) 또한 만 입구 정점이 만 안쪽 정점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냈 다. 10월의 선충류 평균 서식밀도는 만 안쪽과 만 입구 정점 들이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저서성 요각류는 만 안쪽 정점 들에 비해 만 입구 정점이 약 7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냈다 (Fig. 4). N/C ratio 값은 만 안쪽 정점이 만 입구 정점에 비해 약 20배 높은 값을 나타내 상대적으로 만 안쪽 정점이 높은 오염도를 나타냈으며, 출현분류군수와 분류군 다양도 지수 (H′)는 만 안쪽 정점에 비해 만 입구 정점에서 약 2배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막만에서 2월 은 만 안쪽 정점과 만 입구 정점의 오염도가 큰 차이를 나타 내지 않은 반면 6월과 10월은 만의 가장 안쪽일수록 오염이 많이 진행되고 만의 밖으로 갈수록 오염 상태가 점점 감소 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분류군 다양도 지수를 상위 분류군을 사용하여 값을 구한 것은 대형저서동물 등에서는 ‘종’의 단 위에서 값을 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중형저서동물에 있어 서도 Platt and Warwick (1980)은 같은 주장을 피력했다. 하 지만 그 후 여러 연구는 ‘종’의 단위보다 높은 ‘속’이나 그 이상의 분류군으로 값을 구한 다양성 지수가 별 차이가 없다 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Heip et al. 1988; Warwick 1988; Moore and Bett 1989). 조사 시기와 조사 방법상의 차이는 있지만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가막만에서 조사된 연구결 과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 도가 크게 증가하여 나타났다 (Table 4). Kim et al. (2000)의 연구결과에서는 만 안쪽 정점들에서 선충류 외에 다른 분류 군의 출현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충류 또한 매우 낮은 서 식밀도를 나타냈다. 즉 만 안쪽 정점들에서 생물이 서식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냈 다. 본 연구에서도 만 안쪽 정점들에서 선충류 외에 다른 분 류군의 출현이 미약하지만 선충류의 서식밀도는 높게 나타 났다. Kim et al. (2000)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진 후 가막만 에 유입되는 생활하수는 하수종말처리를 통해 오염 부하량 이 줄었으며, 내만의 오염된 퇴적물을 준설하여 퇴적물의 산소요구량을 저감시키는 활동이 수행되었다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1). 하지만 이러한 활동들에 의해 중형저서동물의 서식환경이 개선 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 해선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5.주요 우점 분류군의 군집 특성

    본 연구에서 중형저서동물 그룹 중 가장 높은 출현을 나 타낸 선충류의 서식밀도는 만 안쪽 정점이 모든 시기에서 만 입구 정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에서도 선충 류의 서식밀도는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 나 (two-way ANOVA test, F=0.98, P=0.375), 정점별로 유 의한 차이 (two-way ANOVA test, F=7.58, P≤0.001)를 보 였다 (Table 5). 일반적으로 선충류는 환경의 변화에 대한 내 성이 높을 뿐 아니라 일부 그룹은 빈산소 환경을 보다 더 좋 아하는 서식특성을 갖고 있다 (Heip 1980; Raffaelli 1987; Moore and Bett 1989; Coull and Chandler 1992). 특히 만 안 쪽 정점들이 상대적으로 만 입구 정점보다 높은 서식밀도가 나타난 것은 선충류 중에는 깨끗한 환경보다 오염된 환경을 더 선호하는 그룹이 있는데 (Heip et al. 1988), 이러한 특정 종의 번식이 활발하게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선충류 다음 으로 높은 우점 분류군인 저서성 요각류의 경우 2월은 만 안 쪽 정점이 만 입구 정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서식밀도 를 나타내거나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반면 6월과 10월은 만 안쪽 정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 입구 정점에 서식밀도가 크게 증가하여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에서도 저서성 요각 류의 서식밀도는 정점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 나 (two-way ANOVA test, F=1.01, P=0.434), 시기별로 유 의한 차이 (two-way ANOVA test, F=5.72, P≤0.005)를 나 타냈다 (Table 5). 일반적으로 저서성 요각류는 빈산소 환경 에 민감하고, 환경의 악화 특히 유기오염의 진행에 따라 개 체수가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Raffaelli and Mason 1981; Warwick 1981). 가막만의 빈산소수괴 형성과 소멸시기는 Kim et al. (2006)에 의해 연구된 결과에 따르면 6월 중순의 저층수에서 용존 산소 농도는 4.0 mg L-1 이상으로 분포하였 으나, 내만 안쪽에서는 7월 초부터 용존 산소 농도가 2.0 mg L-1 이하의 빈산소수괴가 나타나며, 내만이 중앙부보다 수심 이 깊고 오목한 지형적인 조건에 의해 성층화된 저층 고립냉 수괴가 존재하는 것이 빈산소수괴를 형성하는 가장 큰 요인 으로 나타났다. 가막만의 저서성 요각류의 군집 특성은 계절 적인 변화와 빈산소수괴 형성 등과 같은 환경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6.군집분석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중형저서동물의 각 분류별 개체수 밀도에 따른 Bray-Curtis 유사도 지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 을 실시한 결과, 중형저서동물 군집은 총 7개 그룹으로 구분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5). A, B, F 그룹은 만 입구 정점들이 그룹 되어졌고 D 그룹은 만의 가장 안쪽 정점 10 만이 그룹 되어졌으며 C, E, G 그룹은 만 입구와 만 안쪽 정 점들이 혼합되어 그룹 되어졌다 (Fig. 6). 군집분석에 의해 구 분된 그룹들에 영향을 준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SIMPER 분석 결과, 모든 그룹들에서 선충류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으 며, 그 뒤로 저서성 요각류, 유공충류, 다모류, 요각류 유생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Table 6). 만 입구 정점들로 구분된 A, B, F 그룹 중 A와 B 그룹은 타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충류의 기여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저서성 요각류, 다모류, 요각류 유생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만 입구에 위치한 정점들이 만 안쪽 정 점 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이 서식하 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 요

    본 연구는 가막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계절적인 변화와 공간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2009~2010년에 걸쳐 10개 정점에서 2월, 6월 10월에 총 6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막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분류군 다양 도, N/C ratio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선형동물과 저서 성 요각류의 서식밀도가 가막만의 중형저서동물 그룹중 가 장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냈다. 분류군 다양도 값은 가막만의 내만역에 비해 외해에 인접한 정점들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N/C ratio는 각 지역별로 저서생태계의 오염을 모니터링 하 기 위한 지수인데, N/C ratio 분석결과 가막만의 내만역의 N/ C ratio 값이 외해에 인접한 정점들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 내만역의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사 사

    본 연구는 “중규모 해양 과정과 생태계 반응 연구: 남해역 (PE99414)”과 해양수산부의 재원으로 해양수산생명공학기 술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지원 “해양선형동물자원 기탁등록 보존기관 (PM59050)”에 의해 수행된 연구 일부로 이에 감사 드립니다.

    Figure

    KJEB-34-2-79_F1.gif

    Location of sampling station in the study area (▲: inside of bay, ■: outside of bay).

    KJEB-34-2-79_F2.gif

    Sediment temperature, depth and pH at sampling stations in Gamak Bay.

    KJEB-34-2-79_F3.gif

    Number of taxa and abundance of meiofauna at each station and period in Gamak Bay, 2009.

    KJEB-34-2-79_F4.gif

    Number of taxa and abundance of meiofauna at each station and period in Gamak Bay, 2010.

    KJEB-34-2-79_F5.gif

    Clustering of meiofaunal communities by using of Bray-Curtis similarity at each station (▲: inside of bay, ■: outside of bay).

    KJEB-34-2-79_F6.gif

    Clustering of meiofaunal communities by using of MDS ordination at each station (▲: inside of bay, ■: outside of bay).

    Table

    Localities of the sampling stations in the present study.

    Comparison of the mean abundance, number of taxon, nematode/copepod ratio and diversity index (H′) of the meiofaunal community at inside and outside zone of Gamak Bay in 2009.

    Comparison of mean abundance, number of taxon, nematode/copepod ratio and diversity index (H′) at inside and outside zone in Gamak Bay, 2010.

    Seasonal variation in the density, diversity index (H′) and N/C ratio of meiofauna from Gamak Bay.

    Summary results of two-way ANOVA, analyzed major characters of meiobenthic communities in Gamak Bay.

    Summary of SIMPER analysis to comparing the meiofauna communities in Gamak Bay.

    Reference

    1. Burgess R (2001) An improved protocol for separation meiofauna from sediments using colloidal silica sols , Mar. Ecol. Prog. Ser, Vol.214 ; pp.161-165
    2. Coull BC , Hicks GRF , Wells JBJ (1981) Nematode/Copepod ratio for monitoring pollution , Mar. Pollut. Bull, Vol.12 ; pp.378-381
    3. Coull BC , Chandler GT (1992) Pollution and meiofauna: field, laboratory and mesocosm studies , Oceanogra. Mar. Biol, Vol.30 ; pp.191-271
    4. Dorris M , De Ley P , Blaxter ML (1999) Molecular analysis of nematode diversity and the evolution of parasitism , Para. To, Vol.15 ; pp.188-193
    5. Gier O (1993) Meiobenthology: the microscopic fauna in aquatic sediment , Spr. Fer. Ber, ; pp.1-328
    6. Hargrave BT , Thiel H (1983) Assessment of pollution-induced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 Mar. Pollut. Bull, Vol.14 ; pp.41-46
    7. Heip C (1980) Meiobenthos as a tool in the assessment of marine environmental quality , Rapp. P. V. Reun. Cons. Int. Explor. Mer, Vol.179 ; pp.182-187
    8. Higgins RP , Thiel H , Heip C , Herman PMJ , Soetaert K (1988) Data processing, evaluation and analysis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eiofauna, Smiths , Ins. Pre. Wash. DC, Vol.pp ; pp.197-231
    9. Higgins PR , Thiel H (1988)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eiofauna, Smiths. Ins. Pre,
    10. James WN , Mark DB (2004)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Person Education Inc,
    11. Kang TW , Kim DS , Min WG , Rho HS , Hong JS (2011) Characteristics of meiobenthic community inhabiting sandy sediment in the Yellow Sea, Korea , Oce. Pol. Res, Vol.33 ; pp.193-209
    12. Kim BG , Lee MO , Park SJ (2012) Characteristic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s, and seawater exchange in Gamak Bay , J. Kor. Soc. Mar. Env. Eng, Vol.15 ; pp.101-110
    13. Kim DS , Je JG , Shin SH (2000) Utilization of meiobenthos for pollution monitoring in the Gamak Bay, Korea , J. Kor. Fish. Soc, Vol.33 ; pp.307-319
    14. Kim DS , Lee JH (2001) Studies on community of meiobenthos in the sediments of the Lake Shiwha , Kor. J. Env. Bio, Vol.19 ; pp.159-171
    15. Kim DS , Choi JW , Je JG (1998) Community structure of meiobenthos for pollution monitoring in mariculture farms in Tongyong coastal area, southern Korea , J. Kor. Fish. Soc, Vol.31 ; pp.217-225
    16. Kim JB , Park JI , Jung CG , Choi WJ , Lee WC , Lee YH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 Gamak Bay for a period of hypoxic water mass disappearance , J. Kor. Soc. Mar. Env. Saf, Vol.16 ; pp.241-248
    17. Kim JB , Lee SY , Choi YH , Jung CS , Lee PY ( 200) The characteristics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 in Gamak Bay , J. Kor. Soc, Vol.69 ; pp.216-224
    18. Kim SY , Jeon SH , Lee YS , Lee YH , Kim BM (2011) Characteristics of phosphate flux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Gamak Bay during the hypoxic water mass , J. Env. Sci. Int, Vol.20 ; pp.1069-1078
    19. (200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Environmental management area management demonstration area planning studies, ; pp.275
    20. Moore CG , Bett BJ (1989) The use of meiofauna in marine pollution impact assessment , Zool. J. Linn. Soc, Vol.96 ; pp.263-280
    21. Price JH , Irvine DEG , Farnham WF , Platt HM , Warwick RM (1980) The significance of the free living nematodes to the littoral ecosystem In the shore environment , Ecosystems, Aca. Pre, Vol.2 ; pp.729-759
    22. Raffaelli D (1987) The behaviour of the nematode/copepod ratio in organic pollution studies , Mar. Env. Res, Vol.23 ; pp.135-152
    23. Raffaelli D , Mason CF (1981) Pollution monitoring with meiofauna, using the ratio of nematodes to copepods , Mar. Pollut. Bull, Vol.12 ; pp.158-163
    24. Sandulli R , De Nicola M (1990) Pollution effects on the structure of meiofauna communities in the bay of Naples , Mar. Pollut. Bull, Vol.21 ; pp.144-153
    25. Sekine M , Lee IC , Narazaki T , Ukita M , Imai T , Nakanishi H (1995) Handling of dissolved oxygen in the seto inlandsea fisheries ecological model , Proc. Environ. Eng, Vol.32 ; pp.301-310
    26. Shannon CE , Wien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onis. Press, Vol.177
    27. Shirayama Y (1983) Size structure of deep-sea meio- and macrobenthos on the western Pacific , Int. Revue. ges. Hydrobiologia, Vol.68 ; pp.799-810
    28. Warwick RM (1981) The nematode/copepod ratio and its use in pollution ecology , Mar. Pollut. Bull, Vol.12 ; pp.329-333
    29. Warwick RM (1988) The level of taxonomic discrimination required to detect pollution effects on marine benthic communities , Mar. Poll. Bull, Vol.19 ; pp.259-268
    30. Warwick RM , Clarke KR (1991) A comparison of some methods for analysing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 J. Mar. Biol. Ass. U.K, Vol.71 ; pp.225-244
    31. Yoon SP , Jung RH , Kim YJ , Kim SS , Lee JS , Park JS , Lee WC , Choi WJ (2007) Characteristics of benthic environment and polychaete communities of Gamak Bay, Korea , The Sea, Vol.12 ; pp.287-304
    32. Yoon YH (1995)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red tide organisms in the northern Kamak Bay,southern Korea , Bull. Fis. Sci. Ins. Yosu. Uni, Vol.4 ; pp.1-15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