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4 No.4 pp.246-256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16.34.4.246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ueuido (Incheon), Korea

Hyun-Jun Kim, Dong Chan Son, Dong-Hyuk Lee, Jun-Soo Han, Su-Young Jung1, Soonku So2, Kyung Choi, Hyuk-Jin Kim
*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Pocheon 11186, Republic of Korea
1Division of Plant Conseva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Pocheon 11186, Republic of Korea
2Division of Ecosystem,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26441,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 Hyuk-Jin Kim, 031-540-1075, 031-540-1070, jins77@korea.kr
November 11, 2016 December 1, 2016 December 2, 2016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vascular plants of Mueuido in Incheon from April to October, 2011.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mountains (Mt. Horyonggok and Mt. Guksa), coastal areas and annexed islands (Silmido and Somueuido). Vascular plants were found to have 338 taxa, including 90 families, 235 genera, 297 species, 5 subspecies, 32 varieties and 4 form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had 5 taxa including Utricularia bifida, U. vulgaris var. japonica, U. racemosa, Ottelia alismoides, and Arisaema heterophyllum.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had 3 taxa of grade V and 5 taxa of grade II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0 taxa that made up 8.3%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무의도 (인천광역시)의 관속식물상

김 현준, 손 동찬, 이 동혁, 한 준수, 정 수영1, 소 순 구2, 최 경, 김 혁진
*
국립수목원 산 림생물조사과
1국립수목원 산 림자원보존과
2국립공원연구원 조사연구부

초록


    KOREA NATIONAL ARBORETUM
    KNA1-1-18, 15-3

    서 론

    무의도는 인천항에서 서쪽으로 14 km, 인천국제공항이 위 치한 영종용유도에서 남서쪽으로 1.4 km에 위치하고, 행정 구역상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에 속하며, 전체면적은 9.4 km2이고, 해안선 길이는 총 31.6 km에 달한다. 본 조사지 역의 행정구역인 인천의 최근 30년 (1981~2010)간 연평 균 기온은 12.1℃이고 월 최저기온은 - 2.1℃ (1월), 월 최 고기온은 25.2℃ (8월)로 연교차는 27.3℃이며 연평균 강수 량은 1234.4 mm로 나타났다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섬의 형태가 장군복을 입고 춤을 추는 것 같다하여 무의 도라 불리우며, 부근에 소무의도, 실미도, 해녀도 등의 작은 도서가 산재하고 있다. 서쪽 해변가는 육지가 파랑의 침식작 용을 받아 후퇴할 때 해안에 절벽이 형성되는 해식애가 발 달되어 있다. 섬의 지형은 대부분 산지로 북쪽에는 당산 (124 m), 중앙에는 국사봉 (236 m), 남쪽에는 호룡곡산 (245 m), 서 쪽 해안가에는 하나개해수욕장, 실미해수욕장 위치하고 있 다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6). 최근 하나개수욕장의 일몰과 실미해수욕장의 바닷길 등으로 인하여 관광객의 왕 래가 급속도로 많아지고 있어 인위적인 자연훼손이 증가되 고 있는 실정이다.

    식물상 구성인자를 바탕으로 Lee and Yim (2002)이 제안 한 한반도의 식물구계학적 위치로는 남해안아구의 북단에 해당된다. 조사지의 관속식물 연구는 Kim and Lee (1980)가 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57과 142속 147종 14변종, 총 161분 류군을 보고하였고, Paik (2010)은 무의도의 습지에 대한 식 생연구를 통해 습지 조사구 내에서 30과 53속 50종 8변종, 총 58분류군을 보고하였다. 이들 문헌을 종합하면 본 조사 지역 내 확인된 식물은 약 180여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 로 확인되나,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Thunb.), 살구나 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감나무 (Diospyros kaki Thunb.) 등 재배식물과 꿩의다리아재비 (Caulophyllum robustum Maxim.), 하늘나리 (Lilium concolor Salisb.), 다북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var. caespitosum Makino) 등 분포여부가 불확실한 분류군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선 행연구에는 증거표본의 제시가 없기 때문에 목록을 추가로 검토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의도 일대의 현지조사를 통해 증거표 본을 확보하여 이에 기초한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검토하고, 산림식물에 대한 식물다양성 조사를 통해 주요 식물들의 효 율적인 관리와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 법

    무의도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2011년 4 월부터 10월까지 7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Table 1; Fig. 1). 정확한 식물 동정을 위해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 관이 있는 개체만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식물들은 건조표본 으로 제작하였고, 각 표본마다 채집번호와 좌표를 부여하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 (KH)에 보관하였다. 또한 국립 수목원에 기확보된 표본을 재동정하여 전체 목록에 추가하 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Lee (1980, 2003), Lee (1996), Lee (200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2011), Park (2009) 등 의 도감을 이용하였다. 동정된 식물 목록은 Engler의 분류 체계 (Melchior 1964)에 따라 배열하였고, 과 내에서는 학명 의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 물목록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을 따라 표기하였다. 주요 자원식물 인 특산식물, 희귀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등은 Oh et al.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등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귀화식물 현황 은 Lee et al. (2011), Jung (2014)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결과 및 고 찰

    1.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의 종구성

    본 연구에서 밝혀진 무의도의 관속식물은 90과 235속 297 종 5아종 32변종 4품종의 총 338분류군으로 양치식물 8과 11속 13종 1변종 14분류군 (4.1%), 나자식물 2과 2속 5종 5 분류군 (1.5%),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 64과 153속 185종 4 아종 19변종 2품종 210분류군 (62.1%), 단자엽식물 16과 69 속 94종 1아종 12변종 2품종 109분류군 (32.3%)으로 나타 났다 (Table 2). 이는 한반도의 관속식물 4,881분류군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6.9%를 차지하였다. 최근에 수행된 인근 도 서지역의 관속식물상과 비교하면 영종도 (50.5 km2)와 용유 도 (13.6 km2) 644분류군, 영흥도 (23.4 km2) 302분류군, 덕적 군도 일대의 덕적도 (20.8 km2) 554분류군, 소야도 (3.0 km2) 379분류군, 문갑도 (3.4 km2) 285분류군, 서해 5도지역의 백 령도 (45.8 km2) 591분류군, 소청도 (2.9 km2) 294분류군, 대 청도 (12.6 km2) 398분류군, 연평도 (7.2 km2) 514분류군으로 나타나 본 조사지역의 식물 다양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확 인되었다 (Lee et al. 2012; Lim et al. 2015; Kim et al. 2015; Son et al. 2016). 이는 Kim et al. (2013), Oh et al. (2014)의 연구에서 면적과 생육환경의 영향으로 식물다양성 차이를 보이는 견해와 유사한 결과로 판단된다.

    조사된 관속식물 중 과별 분류군의 다양성이 높은 상위 10개과는 벼과 49분류군, 국화과 36분류군, 사초과 30분류 군, 콩과 15분류군, 장미과 15분류군, 백합과 11분류군, 마디 풀과 10분류군, 꿀풀과 10분류군, 십자화과 8분류군, 석죽과 6분류군 순으로 조사되었다.

    무의도의 산림식생은 곰솔 (Pinus thunbergii Parl.), 졸참 나무 (Quercus serrata Thunb.),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vii Hance)가 우점하였으며, 교목층에는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소나무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고욤나무 (Diospyros lotus L.) 등이 확인되었다. 그 하층부 를 이루는 아교목 및 관목층에는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Thunb.), 콩배나무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C.K.Schneid.) Rehder), 장 구밤나무 (Grewia parviflora Bunge) 등의 출현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초본층은 남산제비꽃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솜나물 (Leibnitzia anandria (L.) Turcz.), 가는잎억새 (Miscanthus sinensis f. gracillimus (Hitchc.) Ohwi), 청사초 (Carex breviculmis R.Br.), 지네고사 리 (Thelypteris japonica (Bak.) Ching), 금방동사니 (Cyperus microiria Steud.), 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 Miq.) 등이 비교적 넓은 지역에 걸쳐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하나개해 수욕장, 실미도해수욕장 등 해안가 주변에서는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L.f.), 갯방동사니 (Cyperus polystachyos Rottb.), 갯사상자 (Cnidium japonicum Miq.), 수송나물 (Salsola komarovii Iljin), 갯완두 (Lathyrus japonicus Willd.),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DC.) 등의 염생식물이 관찰되 었다.

    식물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으로는 호룡곡산 서쪽사면 습 지, 국사봉 동쪽사면 습지지역으로, 다수의 습지식물이 분포 하고 있었다. 그러나 습지 주변에는 산책로가 접해 있어 탐 방객으로 인한 인위적인 훼손이 우려되며, 관광지 개발을 위 한 벌목으로 산림식생이 파괴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 및 보호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2.새로이 확인된 분류군

    무의도 식물상과 관련한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 검토한 결 과 (Kim and Lee 1980; Paik 2010), 본 연구를 통해 새로이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은 바위손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장대 나물 (Arabis glabra Bernh.), 줄딸기 (Rubus oldhamii Miq.),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L.) DC.),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등 239분류군이며, 이들 은 소산식물목록의 학명 앞에 ★로 표시하였다. 특히, 참 새귀리 (Bromus japonicus Thunb.), 김의털아재비 (Festuca parvigluma Steud.), 큰듬성이삭새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 Honda) 등 벼과 38분류군, 제 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 울산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L.), 한련초 (Eclipta prostrata (L.) L.) 등 국화과 33분 류군,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Ohwi), 천일사초 (Carex scabrifolia Steud.), 검정하늘지기 (Fimbristylis diphylloides Makino) 등 사초과 25분류군으로 벼과, 국화과, 사초과 식 물이 다수 추가되었다. 이는 특정 분류군에 대한 동정의 어 려움으로 그동안 인식하지 못한 결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술패랭이꽃 (Dianthus longicalyx Miq.), 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podocarpum var. oxyphyllum (DC.) H.Ohashi), 돌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등 기존 문헌에 기록된 일 부 분류군은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는 조사 경 로와 시기의 차이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조사 경로 및 시기 에 추가적인 보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특산식물

    조사지역에서 생육이 확인된 338분류군 중 특산식물 (Oh et al. 2005)은 개나리 1분류군이 조사되었으나, 민가 주변에 식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3). 따라서 무의도 지역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기존 선행연 구 (Kim and Lee 1980; Paik 2010)와도 일치하는 결과가 확 인되었다.

    4.희귀식물

    희귀식물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은 취약종 (VU)에 땅귀개 (Utricularia bifida L.), 통발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Makino) Tamura) 총 2분류군, 약관심 종 (LC)에 이삭귀개 (Utricularia racemosa Wall.), 물질경이 (Ottelia alismoides (L.) Pers.),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총 3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 (Table 4). 땅귀개는 산지 습지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분류군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으로 국사봉 동쪽사면 습지와 호 룡곡산 서쪽사면 습지에서 큰 군락이 각각 확인되었다. 특 히, 호룡곡산 서쪽사면 습지에는 통발, 이삭귀개도 함께 관 찰되었다. 그러나 확인된 대부분의 희귀식물은 습지 주변에 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삼림욕장 및 산책로가 주변에 위치하 고 있어 탐방객에 의한 훼손이 우려되며, 이에 대한 보전 대 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5.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은 Table 5와 같다. V등급으로 땅귀개, 통발, 이삭귀개 총 3 분류군, III등급으로는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 질경이 택사 (Alisma orientale (Sam.) Juz.), 방울비짜루 (Asparagus oligoclonos Maxim.), 갯그령 (Elymus mollis Trin.), 갯보리사 초 (Carex laticeps C.B.Clarke ex Franch.) 총 5분류군이 확 인되었다. 참당귀, 방울비짜루는 하나개유원지일대 산림하에 불연속적으로 분포하였고, 질경이택사는 국사봉 동사면 습지 주변에서 확인되었다. 염생식물인 갯그령, 갯보리사초는 무 의도와 실미도 사이 해안가에서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6.귀화식물

    조사지역 내 분포가 확인된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좀명아주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붉은토끼풀 (Trifolium pratense L.), 백령풀 (Diodia teres Walter), 털별꽃아재비 (Galinsoga ciliata (Raf.) S.F. Blake), 왕포아풀 (Poa pratensis L.) 등 총 28분류군이 확인 되었으며 (Table 6), 귀화율 (Naturalized Index: 귀화식물의 종수/출현식물의 총 종수×100)은 8.3%, 도시화지수 (조사지 역 내 출현한 귀화식물의 수/한반도에 유입된 귀화식물의 수 ×100=30/321×100)는 8.7%로 조사되었다. 무의도 일대의 귀화식물은 주로 큰무리선착장, 하나개유원지, 실미도오토캠 장을 중심으로 분포가 확인되어 향후 이 지역은 다른 귀화 식물들도 침입하여 확산될 수 있는 교란지역으로 판단된다. 최근 Jung (2014)은 이입시기에 따라 1기 (1500∼1931년), 2 기 (1932∼1960년), 3기 (1962∼현재)로 구분하였으며, 분포 범위를 고려한 침입등급을 광분포종 (WS), 심각한 확산종 (SS), 확산 위험종 (SR), 확산 우려종 (SC), 확산 진행종 (CS) 등 총 5등급으로 구분한 바 있다. 이를 근거로 무의도의 귀 화식물을 살펴보면, 이입시기별로 1기 4분류군, 2기 13분류 군, 3기 11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침입등급별로 광분포종 15분류군, 심각한 확산종 5분류군, 확산 위험종 2분류군, 확 산 우려종 2분류군, 확산 진행종 4분류군으로 각각 조사되어 최근 유입된 귀화식물의 수와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광분포 종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영종 도, 용유도에서 정기적으로 운항되는 여객선과 차량유입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영종도와 용유도 일대에 분포 가 확인된 귀화식물 95분류군 (Lee et al. 2012)으로 무의도 귀화식물 28분류군 중 26분류군이 일치하였으며, 상기 언급 한 유입경로를 비추어 볼 때 영종도와 용유도를 통해 귀화 식물이 유입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인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L.),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L.),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는 하나개유원지, 실미도야영장 주변에서 확 인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생육 및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주기 적인 방제작업 등과 같은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적 요

    본 연구는 무의도 (인천광역시)지역에 대하여 2011년 4 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 다. 조사지역은 무의도 내 국사봉, 호롱곡산, 해안가 및 부속 섬인 실미도와 소무의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된 전 체 분류군은 90과 235속 297종 5아종 32변종 4품종으로 총 338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 산 림청지정 희귀식물은 땅귀개, 통발, 이삭귀개, 물질경이, 두 루미천남성 등 총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5등급종이 3분류군, 3등급종이 5분류 군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28분류군으로서 귀화율 은 8.3%, 도시화지수는 8.7%로 나타났다.

    사 사

    본 논문은 국립수목원 한반도 수목지 발간 연구 과제 (KNA1-1-18, 15-3)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KJEB-34-246_F1.gif

    Map of the investigated area in the study.

    Table

    Dates and routes of investigations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Mueuido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Mueuido

    List of Korean rare plants in Mueuido

    Degree: VU (Vulnerable), LC (Least Concerned)

    List of grade V to III taxa of 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 in Mueuido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Mueuido

    Introduced period: 1st (1500~1931), 2nd (1932~1960), 3rd (1962~2014), Invasion degree: WS (Widespread species), SS (Serious spread species), SR (Spread risk species), SC (Spread concern species), CS (Continue spreading species)

    List of vascular plants in Mueuido

    ★: Newly found in this study.

    Reference

    1. (2016) Incheon metropolitan city homepage, (http://www.incheon.go.kr)
    2.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Ph.D. Thesis, Andong National Univ,
    3. Kim H.J. , Ji S.J. , Jung S.Y. , Park S.H. , Lee S.G. , Lee C.W. , Chang K.S. (2015)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eokjeokdo (Ongjin- gun)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 , Korean J. Plant Res, Vol.28 ; pp.487-510
    4. Kim I.T. , Lee I.K. (1980) On the ecological studies of flora in island Muie , Kor. J. Ecol, Vol.3 ; pp.21-30
    5. Kim J.H. , Nam G.H. , Kim S.Y. , Kim J.S. , Choi J.E. , Lee B.Y. (2013) A floristic study of Baengnyeongdo (Isl.) in Korea , Korean J. Plant Res, Vol.26 ; pp.178-213
    6. (20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page, (http://www.kma.go.kr)
    7. (2008) Illustrated Pteridophyta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 pp.547a
    8.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 pp.332b
    9.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pp.600
    10.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 pp.534
    11. Lee HJ , Park SH , Ha SG , Hwang HS , Chang KS , Lee YM (2012)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Youngjongdo and Yongyudo , Kor. J. Env. Eco, Vol.26 ; pp.839-867
    12.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13.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Vol.I, II ; pp.914910
    14. Lee W.C. (1996) Standard Illustrated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 pp.624
    15. Lee W.C. , Yim Y.J.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tiy Press, ; pp.412
    16. Lee Y.M. , Park S.H. , Jung S.Y. , Oh S.H. ,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 J. Pl. Taxon, Vol.41 ; pp.87-101
    17.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Vol.I, II ; pp.974885
    18. Lim Y. , Na H.R. , Han B. , Seo W.B. , Hyun J.O. (2015) Floristic study of Yeongheungdo Island , Korean J. Plant Res, Vol.28 ; pp.456-474
    19.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Vol.Vol. II ; pp.666
    20.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 pp.173-220
    21. Oh B.U. , Jo D.G. , Kim K.S. , Jang C.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 pp.205
    22. Oh H.K. , Kim S.C. , You J.H. (2014)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Daesong tidal flat wetland, Ahnsan-si, Gyeonggi-do , J. Korean Env. Res. Tech, Vol.17 ; pp.31-48
    23. Paik W.K. (2010) Vegetation of wetland in Mueuido (Incheoncity) , Korean J. Plant Res, Vol.23 ; pp.197-205
    2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 ; pp.602
    25. Son D.C. , Kim H.J. , Lee D.H. , Jung S.Y. , Park S.H. , Chang K.S. (2016) Flora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 Korean J. Plant Res, Vol.29 ; pp.434-466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