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8 No.4 pp.507-517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20.38.4.507

Comparison of morphometric traits between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croaker (L. crocea)

In-Seok Park1, Ji Su Oh1
Division of Marine Bioscience, Colleg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Busan 49112, Republic of Korea
1National Agency for Marine Seed Improvement, Aquaculture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4608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In-Seok Park Tel. 051-410-4321 E-mail. ispark@kmou.ac.kr
06/02/2020 13/05/2020 12/10/2020

Abstract


Several methods including morphometric analysis were used to distinguish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from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which have very similar external shapes. Morphometric analysis showed four considerable differences (p<0.05) among the total 48 morphometric dimensions, but no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classical dimensions (p>0.05). Ra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two truss dimensions: Insertion of dors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 and origin of an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 and two head part dimension: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 above of eye and above of eye -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 (p<0.05). However, the yellow croaker had higher values than the small yellow croaker in the other three morphometric dimensions except for the head part dimension of above of eye -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 of the four morphometric dimensions (p<0.05). The X-ray photographs indicated that the small yellow croaker (45.1±2.34°) had 8.4% more curved vertebral column than the yellow croaker (38.4±1.82°). A diamond-shaped cranium was found when the skin was peeled off from both fish but the commonly held fact that only the small yellow croaker has a diamond-shaped cranium is not accurate. Our results confirmed that the two fish could be definitely distinguished by their external body shape.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와 부세 (L. crocea) 간의 외부계측형질 비교

박 인석1, 오 지수1
한국해양대학교 해 양생명과학부
1국립수산과학원 양 식관리과 GSP수산종자사업단

초록


    Busan Innovation Institute of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Planning

    서 론

    계측형질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measurable)은 특정 부위의 개수를 파악하는 계수형질 (meristic characteristics, countable)과는 달리 길이 단위 (mm)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Kim et al. 2017) 유사 어류의 체형을 비교, 분 석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Park et al. 2001a;Lim et al. 2016;Park 2020), 종 (species) 간이나 집단 (population) 내에서의 형태학적 차이는 체형 혹은 특이한 해부적 형태에 의해 파악 및 비교되고 있다 (Park et al. 2004;Kim et al. 2012). 어류의 체형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에 의 해 결정되지만, 경우에 따라 환경적 변화에 의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종 내에서 환경의 영향을 받은 개체군의 체형 분류에 계측형질을 이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Park 2004, 2020;Park et al. 2004, 2007;Kim et al. 2012). 어류를 대상 으로 한 계측형질 파악은 기본적으로 4가지 연구 목적에 서 시도되고 있다. 첫째, 성 (sex)과 종에서의 구별; 둘째, 불 확실한 잡종 (hybrid)과 같은 미확인종의 확인; 셋째, 집단 과 종에서의 형태 변이 양상 구명; 넷째, 생물계통학적 연 관 관계의 확인 및 분류이다 (Lee and Kim 1990;Park et al. 2001a, 2001b, 2004;Kim et al. 2012).

    계측형질 분석 방법 중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는 지정화된 어류의 주요 부위들 (landmarks) 간의 직 접 (direct) 또는 간접 (indirect) 거리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 30년 이상에 걸쳐 대부분의 어체 계측형질 연구 에 사용되고 있는 classical dimension는 체장, 체폭 및 체고 파악에 필요한 형질에 집중되고 있으며, 머리와 꼬리부를 포함한 어체의 앞, 뒤 체축을 기준으로 주로 연구되고 있 다 (Straüss and Bond 1990;Park et al. 2006;Park 2020). 반면 truss dimension은 기능적 단위나 외형 구분에 해부학적 표 시들을 지정화 후 망 (network) 형태로 체폭과 어류 길이의 축에 연관된 상대적 상호 간의 거리를 분석함으로써 계군 의 체형 분석 시 classical dimension보다 이론적으로 우수하 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classical dimension의 미비한 수직 형 계측형질을 보완할 수 있다 (Straüss and Bookstein 1982;Turan 1999;Mojekwu and Anumudu 2015;Park 2020).

    농어목 (Perciformes) 민어과 (Sciaenidae) 어류는 전 세계 적으로 약 70속 270여 종이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온대 또 는 열대수역의 연안이나 기수지역에 서식하는 육식성 어 류이다 (Cui et al. 2009). 우리나라에는 민어 (Miichtys miiuy),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 수조기 (Nibea albiflora), 부 세 (Larimichthys crocea),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 민 태 (Johnius grypotus) 등 9속 11여 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민 어과 어류 중 많은 종들이 어업 자원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Lee et al. 2017;Noh et al. 2017). 참조기는 농 어목 민어과 조기속에 속하며 겨울철에 제주도 서남해역 과 동중국해, 일본 남부 지역 등의 수심 40~200 m의 모래 바닥이나 펄에 서식하다 수온이 상승하는 3~4월에 서해 연안으로 이동하고 5~6월에 연평도 근해에서 산란하는 회 유성 어종이다. 참조기의 몸은 길다랗게 측편되어 있고 몸 의 하부는 황색을 띠며 황금색 과랍상의 선조직이 발달되 어 있으며 머리는 부세보다 작은 편이고 배부분이 거의 수 평이며 성어에서 부세보다 크기가 작다 (Kang et al. 2006, (2012;Ahn et al. 2016). 참조기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지역특 산 품종으로 맛과 육질이 우수하며 양질의 단백질과 미네 랄, 불포화지방산인 DHA 및 EPA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기 호도가 매우 높다 (NIFS 2010). 특히, 참조기는 영양학적으 로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여 원기 회복 및 성장기 어린이 에게 좋은 생선으로 수요가 많아 상업적으로도 매우 가치 가 높은 어종이다 (Noh et al. 2017). 현재까지 참조기에 관 한 연구로는 계절별 성장 경향과 저수온 내성 특성 (Kang et al. 2012), 자연산 암컷의 생식년주기 (Kang et al. 2006), 배발생 및 자치어 형태 (Myoung et al. 2004), 중국 연안 7개 지역에서의 외부형질 비교 (Zhang et al. 2016) 및 청각능력 (Ahn et al. 2016)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부세는 참조기와 함께 농어목 민어과 조기속에 속하며 우리나라 서남해, 동중국해 및 남중국해 등에 분포하는 회 유성 어종으로서 수심 50~200 m 정도에서 서식하며 부 세는 참조기와 달리 산란기가 봄과 가을 2번에 걸쳐 동중 국해에서는 봄에, 남중국해에서는 가을에 산란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3월 말에 북상하여 6~7월에 매화도, 조도, 비 금도 부근에서 산란하고 제주도 남부 해역에서 월동한다 (Lee and Park 1992). 몸은 참조기와 비슷하며 측선 아래쪽 으로 황금색 선기관이 존재하며, 성어의 몸 크기는 참조기 보다 훨씬 크다 (Lee and Park 1992).

    민어과 어류는 우리나라에서 상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어종으로서 과거부터 어황 변동 및 자원량 변동에 관한 조 사가 이루어졌으며 (Zhang et al. 1992;Baik et al. 2005), 연 도별 어획 변동량이 큰 폭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90 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Lee et al. 2007). 참조기는 온수대 형성으로 인한 어군 형성의 어려움과 중국 어선의 남획에 따른 주요 어장의 자원 고 갈 등으로 자원 회복이 지연됨에 따라 (Noh et al. 2017), 이 를 대체할 수 있도록 국내에서도 참조기 양식 기술을 보급 하고 가공 등 관련 산업의 침체를 극복하여 어민의 소득 을 증대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 중이다 (Ahn et al. 2016). 최근 참조기의 공급량 부족으로 대부분이 중국, 홍콩, 말레 이시아 및 베트남 등의 동남아 지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 존하고 있다. 그러나 수입되는 민어과 어류는 형태학적 분 류가 어렵기 때문에 수입명과 유전학적으로 동정된 종명 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Noh et al. 2017). 특히, 참조기 와 생물학적 특성이 매우 유사하지만 개체의 외형 크기와 생태학적 특성 차로 인해 비교적 육질이 질기고 값이 저렴 한 부세를 참조기로 위장하기 위해 조업 즉시 천연 치자 황색소 등이 첨가된 수용액에 침지하여 착색시키는 위화 (adulteration) 방법이 고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Kim et al. 2002;Kang et al. 2006).

    참조기와 부세는 전체적으로 뭉툭한 꼬리지느러미를 가 지며 비늘이 잘 떨어지는 등 외부형태적으로 비슷하여 실 제로는 구분하기 힘들고, 더욱이 두 종을 건조 시 종 간 구 분이 잘 되지 않아 많은 혼돈을 일으키고 있다 (Lee and Park 1992). 현재까지 참조기와 부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는 계수형질 분석 (Myoung et al. 2004), 다중 PCR (multiplex species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MSS-PCR) 분석법 을 이용한 종판별법 개발 (Noh et al. 2017), 해황에 따른 어 장 분석 (Hong 1985) 및 한국산 민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검 토 (Lee and Park 1992) 등이 있으나, 두 종을 구분할 수 있 는 형태에 대한 명확한 비교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 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조기와 부세의 외부 체형을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를 이용한 계측형질 측 정과 더불어, 유상돌기 (diamond-shaped cranium) 존재 확인 및 X-ray 촬영을 통한 머리부분과 머리부분 삼각함수 측정 치에서의 차이점을 제시하여, 혼동하기 쉬운 민어과 어류 두 종의 분류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채집 및 관리

    본 실험에 사용한 참조기 (L. polyactis)는 제주도 (한국) 근해에서 포획하여 암·수 구분 없이 100마리를 표본하였 고, 부세 (L. crocea)는 부산 (한국)의 자갈치 수산물시장에 서 표본한 참조기와 체장과 체중이 비슷한 중국산 부세 100마리를 암·수 구분 없이 구입하였다. 두 종을 모두 한 국해양대학교 수산유전육종학연구실 (부산, 한국)로 이 동하여 clove oil (Sigma, USA) 500 ppm으로 어체를 충분 히 마취시켜 (overdose) 죽인 후 각 표본들의 체장 (standard length; SL)과 체중 (body weight)을 각각 digital vernier caliper (Mitutoyo, Japan)과 전자저울 (Acom, Korea)를 사용 하여 0.1 cm, 0.1 g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2. 계측형질 측정

    계측형질 측정을 위해 참조기와 부세 어체 외부 주요 부분을 지정화 (landmark)하여 숫자로 표시하였다 (Figs. 1 and 2). Figures 12에 나타난 landmark 사이를 서로 거리 화하여 총 48가지 계측형질을 파악하였으며 (Table 1), Park et al. (2004)의 방법에 따라 classical dimension은 총 9개의 landmark를 통한 7개의 계측형질, truss dimension은 총 11 개의 landmark를 통한 30개의 계측형질, 그리고 head part dimension은 총 5개의 landmark를 통한 9개의 계측형질과 안경 (eye diameter) 및 양안 사이 간격 (interorbital width)를 측정하였다. 각 계측형질은 digital vernier caliper (Mitutoyo, Japan)를 이용해 어체와 머리부분을 측면에서 0.1 cm까지 측정하였다.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는 상대치 로 체장을 사용하였고 head part dimension는 상대치로 두 장 (head length; HL)을 사용하였다.

    3. X-ray 촬영

    참조기와 부세의 머리부위를 비교하기 위해 머리부분을 X-ray (Fire CR, 3 Disc Imaging, Korea) 촬영하였으며, 유상 돌기 비교를 위하여 표본 머리부분의 피부를 벗긴 외형을 함께 관찰하였다. 또한 두 종의 척추 형태를 비교하기 위 해 참조기와 부세 각 10마리의 어체를 측면에서 X-ray 촬 영하여 표본의 골격을 시각화하였다 (Fig. 4). 척추골을 따 라 만든 평행선, 척추골의 가장 높은 지점, 그리고 Insertion of pectoral fin base를 서로 연결하여 삼각형을 만든 후, Insertion of pectoral fin base 지점에서의 삼각함수 (tangent θ) 각도를 이용하여 두 종 간 척추만곡의 정도를 파악하였 다.

    4. 통계분석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는 체장에 대한 상 대치 (%)로 조사하였으며, head part dimension는 두장에 대한 상대치 (%)로 조사하였다. 각 계측형질에 대한 통계 적 의미를 제시하기 위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tudent’s t-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자료의 유의성 파악을 위해 p value를 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결 과

    본 실험에서 사용된 참조기 (L. polyactis)의 평균 체장은 16.2±2.21 cm, 평균 체중은 36.2±2.39 g이었으며 부세 (L. crocea)의 평균 체장은 19.5±1.87 cm, 평균 체중은 44.2± 2.75 g이었다. 참조기와 부세의 체색을 비교한 결과, 두 종 모두 등쪽은 암회색이거나 회황색이었고, 배쪽은 황백색 을 띠어 외형적 체색에 있어 종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 (Figs. 1 and 2). 참조기와 부세의 체장에 대한 classical dimension의 각 상대치와 이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는 Table 2에 제시한 바, 6개의 모든 계측형질에서 참조기와 부세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Figs. 1A and 2A).

    Table 3은 참조기와 부세의 체장에 대한 총 30개 truss dimension의 각 상대치와 이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로, Insertion of dors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SL 와 Origin of an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SL의 값은 부세가 참조기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p<0.05) (red line in Fig. 2B). 그리고 나머지 28개의 계측형질은 두 종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Figs. 1B and 2B). 참조기와 부세의 두장에 대한 총 11개 head part dimension 의 각 상대치와 이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 above of eye/ SL 값은 부세가 참조기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p<0.05) (red line in Fig. 2C), Above of eye -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SL 값은 참조기가 부세에 비해 유의하게 컸 다 (p<0.05) (red line in Fig. 1C). 그리고 나머지 9개의 head part dimension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Figs. 1C and 2C).

    본 실험에 사용된 참조기와 부세 머리부위의 X-ray 촬영 사진에서는 낮은 해상도로 인해 정확한 유상돌기의 확인 은 불가능하였으나, 이석의 형태에서는 두 종 간의 차이점 을 발견할 수 있었다 (Fig. 3A and B). 참조기의 이석은 머리 쪽 끝이 뾰족한 반면, 부세의 이석은 비교적 뭉툭한 모양 이었으며, 참조기의 이석에 비해 크기가 조금 더 컸다. 참 조기와 부세 머리부위의 피부를 벗겨 외형을 육안으로 관 찰한 결과, 두 종 모두 유상돌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3C and D). Figure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참조기와 부세 어체 측면의 X-ray 촬영사진을 분석한 결과, 척추골의 수는 참조기와 부세가 각각 27~29개와 25~26 개로 참조기의 척추골 수가 더 많았다. 또한 머리부위에서 참조기 척추 만곡의 각도는 43.2±1.34°, 부세 척추 만곡의 각도는 53.4±1.57°로 부세 척추만곡 정도가 더 크게 나타 났다 (Fig. 4).

    고 찰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은 어류 체형의 주 요 지점을 landmark화 한 후 상호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어 류의 외부 형태를 수직적 및 수평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으 로서, 현재까지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을 이용 한 연구는 기아 (starvation) 개체의 영양조건 파악 (Park et al. 2007), 종 간 잡종과 친어의 유전적 연관4성 분석 (Kim et al. 2012) 및 어류의 성적이형 비교 (Kim et al. 2017) 등이 있다.

    참조기 (L. polyactis)와 부세 (L. crocea)는 같은 속 (Genus) 에 속하는 종이며 외부형태가 매우 유사하여, 현재 그 구 분에 혼돈을 일으키는 종으로 (Lee and Park 1992), Lee and Park (1992)의 연구 결과와 본 실험의 연구 결과를 비교 시, 참조기와 부세 간에서의 Origin of dorsal fin base - origin of ventral fin base와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 origin of spine dorsal fin base의 차이나는 계측형질에서는 두 연구 결과 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 Origin of bottom caudal fin base - insertion of anal fin base, Origin of above caudal fin base - origin of bottom caudal fin bas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 origin of anal fin base, eye diameter 및 interorbital width의 계측형질에서는 두 연구 결 과 간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Lee and Park (1992)의 연구 결과에서 Origin of bottom caudal fin base - insertion of anal fin base/SL 계측형질의 경 우는 참조기가 22.7±0.48와 부세가 24.3±0.88로, 본 연구 결과인 참조기 20.8±3.02와 부세 22.8±2.36와 비교 시 각 각 컸으며 (Table 3), 참조기와 부세의 계측형질 Origin of dors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SL, Origin of dorsal fin base - origin of anal fin base/SL, eye diameter/HL 및 interorbital width/HL 값은 모두 본 연구에서의 계측형질 값보 다 Lee and Park (1992) 연구 결과의 값이 컸다. 유일하게 Origin of above caudal fin base - origin of bottom caudal fin base/SL의 계측형질에서 본 연구의 결과 값 (참조기: 9.9± 1.33; 부세: 9.4±1.05)이 Lee and Park (1992)의 결과 값 (참 조기: 8.4±0.35; 부세: 7.3±0.41)보다 큰 값을 가졌다. Kim et al. (2006)에서 참조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해서 소 형화가 되어가고 성장이 빨라진다고 보고한 점을 고려 시, Lee and Park (1992)과 본 연구 간의 결과 값 차이는 약 30 여 년의 시차에 따른 외부환경적 요인에 의해 참조기와 부 세의 체형이 변화했을 것으로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연구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Origin of bottom caudal fin base - insertion of anal fin base/SL의 계측형질은 부세가 참조기에 비해 큰 값을 가진 바, 부세의 미병장이 참조기의 미병장보 다 크다는 사실은 현재까지 변하지 않았으며 이는 Origin of bottom caudal fin base - insertion of anal fin base의 계측형 질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외부계측형질은 어체의 체고 및 체장 등의 단순 측정을 넘어 어류의 변화된 체형을 보다 자세하게 비교 및 분석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Park et al. 2001a, 2001b;Lim et al. 2016). 현재까지 외부계측형질을 통한 유 사 어류 간의 비교 및 분석은 일부 연구가 진행되어 Lim et al. (2016)에 의한 벵에돔 (Girella leonine)과 긴꼬리벵에돔 (G. puncatata)의 외부 계측형질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

    본 연구의 참조기와 부세의 이석에 관한 유사한 연구로 는 Lee and Park (1992)이 수행한 바 있어, 참조기 이석 내측 면의 sulcus 꼬리 끝은 약간 굽었으며 외측면 중앙에는 과 립상 돌기가 많이 솟아 있고, 부세 이석 내측면 sulcus 꼬리 는 굽어 있지 않고 외측면에는 3~4개의 둥근 과립상 돌기 가 존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와 비슷하게 참조기와 부 세의 구분에 유효한 형질에 관한 연구로는 Myoung et al. (2004)이 참조기와 부세의 자치어기에 나타나는 가장 큰 형태적 특징으로 후두부 닭 벼슬 모양의 돌기를 언급하였 으며 부세의 돌기가 참조기의 돌기보다 2배 가까이 컸다고 보고한 바 있다.

    Myoung et al. (2004)에서는 척추골은 비록 특수한 염색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두 종 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 집 단의 구분 등 대량 처리 시에는 유용한 형질로 판단된다고 보고한 바, 계수한 참조기와 부세 자치어기의 척추골 수는 각각 27~29개, 24~25개로 본 연구에서 계수한 결과와 유 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상돌기의 유무가 참조기와 부세를 구별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바, 참조기는 유상돌기가 나타 나고 부세는 유상돌기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어 머리부위에 각진 diamond 형태 부분만으로 두 종을 구별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참조기와 부세 두 종 모두에서 유상돌기가 발견되었으므로 더 이상 외관상으로 보여지는 유상돌기의 유무에 의해 참조기와 부세를 구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머리부위 X-ray 촬영 조사 결과 머리부위 삼 각점을 기준한 척추만곡 정도에서 부세가 참조기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척추만곡 여부와 그 정도의 파악은 Park (2000)이 연구한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 를 대상으로 4°C 조건으로 2주간 저온처리 시 척추전만 을 X-ray 사진 조사로 이루어진 바 있으며, Park (2020)은 이와 같은 온도에 기인된 내적 형성 척추기형은 무지개송 어 (Oncorhynchus mykiss), striped bass (Morone saxatilis) 및 blueback herring (Alosa aestialis)에서도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비록 Park (2000)의 X-ray 사진 조사로의 연구 결과 는 어류 병리학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지만, 본 연구는 참 조기와 부세의 분류학적 차원에서의 종 간 동정 및 분류를 위한 한 접근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유사한 외형으로 인해 많은 혼란을 야기 시키는 참조기와 부세의 외형 비교 확립으로서, 계측형질 차이에 대한 명확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국내에 서 종묘생산이 시도되는 국내산 부세에 대해서 중국산 및 여타 어종과의 비교 연구를 비롯하여, 국내에서도 서식지 가 다양화되고 있는 참조기에 지역적 외형에 대한 기초연 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지속적인 수온 변화에 따 른 어종의 군집과 집단 체형의 변이에 대비하여 현재 국내 연·근해에 서식하고 있는 어종들에 대한 지속적인 체형 조 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고려 시 차후, 본 연구 결과는 참조기와 부세의 구별법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적 요

    본 연구에서는 외부형태적으로 매우 비슷한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 와 부세 (L. crocea)의 두 종 간 구분 을 위해 계측형질 분석을 포함한 몇가지 기법들을 수행하 였다. 총 48개의 계측형질 중 4개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형질이 파악되었으며 (p<0.05) classical dimension에 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형질은 없었다 (p>0.05). 오히려, 2가지의 truss dimension (Insertion of dors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와 Origin of an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와 2가지의 head part dimension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 above of eye와 Above of eye -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p<0.05). 하지만, 이러한 4가지 계측형질 중 head part dimension의 Above of eye -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의 계측형질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계측형질들에서 부세가 참조기에 비해 더 큰 수치를 나타내었다 (p<0.05). X-ray 분석 결과 curved vertebral column에서 부세는 45.1±2.34° 로 참조기의 38.4±1.82°에 비해 8.4% 더 큰 수치를 나타내 었다 (p<0.05). 머리부위의 표피를 제거한 후의 유상돌기 는 두 종에 모두 존재하여 일반적으로 참조기에서만 유상 돌기가 존재한다고 알려진 바와는 달리, 유상돌기는 두 종 을 구분하기 위한 형질로 볼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참 조기와 부세에서 일부 외부 체형에 의해 명확히 구분 가능 함을 시사한다.

    사 사

    본 연구는 부산산업과학혁신원의 2020년 대학 R&D 씨 앗기획사업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권고와 수정 지시 로 본 논문의 질적 수준과 완성도를 높여주신 익명의 심 사자들께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본 연구 수행에 도움을 주 신 한국해양대학교 수산유전육종학연구실 (부산, 한국) 연 구진에 감사드립니다. 본 연구는 교육부의 연구윤리 확보 를 위한 지침 (교육부 훈령 제153호)와 식품의약품안전처 의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 (법률 제15278호) 기준을 준수하 였으며, 아울러 한국해양대학교 연구윤리를 준수하였습니 다.

    Figure

    KJEB-38-4-507_F1.gif

    Morphometric measurements of the classical dimension (A), truss dimensions (B), and head part dimensions (C) in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Each landmark for the morphometric measurements is numbered. Scale bars indicate 6 cm. Details of the measured distances of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in Table 1. The red line indicates a significantly longer distance in the small yellow croaker than in the yellow croaker (p<0.05).

    KJEB-38-4-507_F2.gif

    Morphometric measurements of classical dimensions (A), truss dimensions (B), and head part dimensions (C) in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Each landmark for the morphometric measurements is numbered. Scale bars indicate 6 cm. Details of the measured distances of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in Table 1. The red line indicates a significantly longer distance in the yellow croaker than in the small yellow croaker (p<0.05).

    KJEB-38-4-507_F3.gif

    X -ray image of the head skeleton in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 and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B) (upper). Diamond-shaped mastoid process after peeling the skin of the small yellow croaker (C) and yellow croaker (D) (lower). Scale bars indicate 6 mm.

    KJEB-38-4-507_F4.gif

    X-ray image of the skeleton of a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 and a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B). Arrow point: highest one in the abdominal vertebrae; a left -angled triangle: the angle between the straight line and the highest one in the abdominal vertebrae. Angle: a*=43.2±1.34°; b*=53.4±1.57°. Scale bars indicate 3 cm.

    Table

    Dimensions of body shape for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th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Classical dimension result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th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Truss dimension result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th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Head part dimension result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th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Reference

    1. Ahn JY , SJ Kim, CM Choi, YS Park and CH Lee.2016. Hearing ability of readlop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cultured in the coastal sea of Jeju. J. Fish. Mar. Sci. Edu. 28:384-390.
    2. Baik CI , CI Lee, KH Choi and DS Kim.2005. Variation of fisheries conditions of fishing ground of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Korean J. Fish. Aquat. Sci. 38:413-424.
    3. Cui Z , Y Liu, CP Li, F You and KH Chu.2009.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larg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Perchiformes, Sciaenidae): Unusual features of its control region and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ciaenidae. Gene 432:33-43.
    4. Hong CH. 1985. On the fishing grounds of buse and oceanographic condition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Korean J. Fish. Aquat. Sci. 18:67-73.
    5. Kang DY , KH Jo, JH Lee, HW Kang, HC Kim and GH Kim.2006.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wild femal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J. Aquacult. 19:188-196.
    6. Kang HW , DY Kang, HS Han and KH Jo.2012. Growth and cold temperature tolerance of cultured juvenil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drum, Nibea albiflora. Korean J. Ichthyol. 24:41-47.
    7. Kim BS , EJ Kang, H Jang and IS Park.2012. Morphometric traits and cytogenetic analysis in induced cross and reciprocal hybrid Rhodeus uyekii and R. notatus. Korean J. Ichthyol. 24:151-159.
    8. Kim DS , HW GIL, TH LEE and I-S Park.2017. Comparative analysis of sexual dimorphism between spawning season and non-spawning season in the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J. Fish. Mar. Sci. Edu. 29:447-452.
    9. Kim HY , KH Hong, JH Hong, DS Kim, SB Han, EJ Lee, JS Lee, HJ Kang, HW Chung, KH Song, JS Park, YK Kwon, YM Jang, IS Shin, CK Lee, HY Park, SC Ha, JS Jo and HK Park.2002. Studies on the separation and discrimination of the natural yellow pigment on croak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762-769.
    10. Kim YH , SK Lee, JB Lee, DW Lee and YS Kim.2006. Age and growth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Ichthyol. 18:45-54.
    11. Lee CL and IS Kim.1990. A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Bagridae (Pisces, Siluriformes)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2:117-137.
    12. Lee CL and MH Park.1992.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Sciaenidae (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4:29-53.
    13. Lee KH , YS Yang, JK Kim, HC An and JK Shin.2007. Characterization of sounds produced by 3 sciaenid species. J. Kor. Soc. Fish. Tech. 43:206-211.
    14. Lee SH , SD Chung, YH Kim and JT Yoo.2017. Maturity and spawning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in the South-Western water of Korea. Korean J. Ichthyol. 29:109-116.
    15. Lim SG , MH Jeong, TH Lee, HW Gil and IS Park.2016. Comparis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mall scale blackfish, Girella leonine and large scale blackfish, G. punctata. J. Fish. Mar. Sci. Edu. 28:1848-1857.
    16. Mojekwu TO and CI Anumudu.2015. Advanced techniques for morphometric analysis in fish. J. Aquac. Res. Dev. 6:354.
    17. Myoung JG , YU Kim, YJ Park, PK Kim, JM Kim and HT Huh.2004. Embryonic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reared in aquarium. Korean J. Fish. Aquat. Sci. 37:478-484.
    18. NIFS.2010. Development of Culture Techniques for the Aquaculture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Report of NIFS 2007-2010 project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Korea.
    19. Noh ES , MN Lee, EM Kim, JY Park, JK Noh, CM An and JH Kang.2017. Development of a multiplex PCR assay for rapid identification of Larimichthys polyactis, L. crocea, Atrobucca nibe, and Pseudotolithus elongates. J. Life Sci. 27:746-753.
    20. Park IS. 2000. Vertebral column deformitie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by cold shoch treatment. J. Fish Pathol. 13:147- 151.
    21. Park IS. 2004. Effect of starvation on some parameter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Sauvage and Dabry): A review. Korean J. Environ. Biol. 22:357-368.
    22. Park IS. 2020.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diploid and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Korean J. Environ. Biol. 38:106-113.
    23. Park IS , CI Zhang and YD Lee.2001a. Sexual dimorphism in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Cocktail wrasse. J. Fish Biol. 58:1746-1749.
    24. Park IS , DW Seol, EJ Kang and CH Kim.2006.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Korean J. Ichthyol. 18:209-215.
    25. Park IS , JH Im and JW Hur.2004.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catfish (Siluridae) in Korea. Korean J. Ichthyol. 16:223-228.
    26. Park IS , JH Im, DK Ryu, YK Nam and DS Kim.2001b. Effect of starvation on morphometric change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Sauvage and Dabry). J. Appl. Ichthyol. 17:277-281.
    27. Park IS , SR Woo, YC Song and SH Cho.2007. Effects of starvation on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chthyol. Res. 54:297-302.
    28. Straüss RE and CE Bond.1990. Taxonomic methods, morphology. pp. 125-130. In: Methods for Fish Biology (Schreck CB and PB Moyle eds.).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sda, MD.
    29. Straüss RE and FL Bookstein.1982. The truss: body from reconstructions in morphometrics. Syst. Zool. 31:113-135.
    30. Turan C. 1999. A note on the examination of morphometric differentiation among fish populations: The truss system. Turk. J. Zool. 23:259-263.
    31. Zhang CI , YM Kim, SJ Yoo, CK Kim and SM Ahn.1992. A study on fluctuations in biomass of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of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25:37-44.
    32. Zhang C , YQ Jiang, ZJ Ye, ZG Li and SZ Dou.2016. A morphometric investigation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evidence for subpopulations on the Chinese coast. J. Appl. Ichthyol. 32:67-74.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