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41 No.4 pp.627-636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23.41.4.627

Insecticidal response of 14 insecticides against Korean Bemisia tabaci local populations

In-Hong Jeong1,*, Leesun Kim1, So-Hee Kim2, Jong Hyeok Lee3, Kyungjae Andrew Yoon3,4, Si Hyeock Lee3,4
1Crop Protec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Wanju 55365, Republic of Korea
2Environmental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Hwaseong
18388, Republic of Korea
3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ublic of Korea
4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In-Hong Jeong Tel. 063-238-3312 E-mail. ihjeong1@korea.kr

Contribution to Environmental Biology


▪ The research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the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for the control of Bemisia tabaci.
▪ Farmers can select and use the highly efficient insecticide suitable for their region.
21/09/2023 07/12/2023 15/12/2023

Abstract


Bemisia tabaci Gennadius, one of the most invasive insect pests, has spread quickly nationwide since it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in 2008. The use of insecticides is the main management strategy for this pest, but the control efficiency has been decreased due to insecticide resistance. We collected 12 local B. tabaci population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differences in efficiency and observed the mortality from 14 commercial insecticides applied at recommended concentrations (RC) and dilutions (0.1 RC and 0.01 RC) using the leaf dipping bioassay. Except for etofenprox (46-64%), thiamethoxam (37-60%), pyriproxyfen (21-61%), and pyridaben (61-65%), the other insecticides showed excellent insecticidal efficacy of 70% to 100% at their RC. In particular, flupyradifurone, emamectin benzoate, and cyantraniliprole showed high insecticidal efficacy of over 90% in all of the tested populations. Some insecticides that rapidly decreased in activity (less than 30%) at diluted concentrations or showed high resistance levels in nearby regions were classified for cautious use due to the possibility or potential to develop resistance. The results provide selected insecticides for B. tabaci control by region and could contribute to reducing insecticide abuse and increasing insecticidal efficiency in farming fields.



14종 살충제의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살충제 약제반응 조사

정인홍1,*, 김이선1, 김소희2, 이종혁3, 윤경재3,4, 이시혁3,4
1농촌진흥청 국 립농업과학원 작 물보호과
2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3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4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1. 서 론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농업해충의 하나인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Gennadius)는 기주 범위가 매우 넓어 채 소류를 포함한 600여 종의 식물을 직접적으로 가해하여 농 산물 생산에 크게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담배가루이는 토 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등 200종 이상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Abd-Rabou and Simmons 2010;Navas- Castillo et al. 2011).

    담배가루이는 외래 침입해충으로 1998년 처음 발견 보 고되었다. 이후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하여 대부분의 시 설 및 노지재배 작물에서 관찰되고 있다 (Lee et al. 2000;Guo et al. 2022). 담배가루이는 기주특이성이나 바이러스 매개성 등 생물적인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24종의 생태 형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Perring 2001). 그러나 최근 에는 이들이 한 종이 아니라 형태적으로 구분이 어려운 40 개 이상의 은밀종복합군 (cryptic species complex)을 형 성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Lee et al. 2013;Lee and Lee 2017). 그 가운데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담배가루이 MEAM1 (B 생태형)과 MED (Q 생태형)이며, 국내에서는 대부분 MED만 관찰이 되고 있다 (Jeong et al. 2020;Guo et al. 2022). 담배가루이 MED는 MEAM1에 비하여 번 식률은 다소 떨어지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등 일 부 살충제에 대해 저항성 발달이 빠르고 바이러스 감염성 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 (Nauen et al. 2002;Luo et al. 2010;Chen et al. 2016).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하여 천적이나 유기농자재를 이 용하는 친환경 시설재배 농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농가 에서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다. 세대기간이 짧아 연중 발 생하는 담배가루이는 세대수가 많고, 살충제에 지속적으 로 노출됨에 따라 저항성이 빠르게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Horowitz et al. 2005;Ahmad et al. 2010;Wang et al. 2018, 2020). 국내에서도 일부 지역 집단에서 imidacloprid와 clothianidin 등 네오니코티노이드 (neonicotinoids) 계 살충제의 저항성 보고가 있다 (Lee et al. 2010). 또한, spinetoram, pyrifluquinazon, pyridaben, pyriproxyfen의 저 항성 발현에 따른 약효 저하가 보고된 바 있다 (Jeong et al. 2020). 최근에는 작용기작이 다른 5종 약제 (dinotefuran, spinosad,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및 bifenthrin)에 대한 바이알 잔류접촉법 조사를 통해, 이들 약제에 대한 담배가루이 저항성이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 음이 보고되었다 (Kim et al. 2021). 약제저항성의 발달은 약제의 방제효율 저하 및 작물 생산성 감소, 농약 사용량의 증대 등을 야기하여 농가에게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분포하는 담배가루이 지역집단을 대상으로 방제에 등록된 살충제들의 살충력을 검정하여 지 역별로 효과가 우수한 약제와 저항성 발달로 인하여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한 약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2.1. 시험 곤충

    시험에 사용한 담배가루이의 지역집단은 중서부 지역에 해당하는 경기도 안성시, 광주시, 충남 논산시, 당진시, 남 동부지역인 경북 상주시, 안동시, 경남 창녕시, 진주시 그 리고 남서부 지역인 전북 완주군, 김제시, 전남 순천시, 고 흥군 등 12개 집단이었다 (Table 1). 2021년 6월에서 10월 까지 시설 채소 및 노지 콩재배 포장에서 채집 후, 지역별 로 구분하여 아크릴케이지 (25×25×30 cm3) 내에서 담배 유묘 (정식 후 30일 이상)를 공급하며 2~3세대 사육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5±2°C, 상대습도 60±5%, 광조건 16L : 8D이었다.

    2.2. 시험약제

    연구에 사용한 살충제는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해 상 업적으로 등록된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인 acetamiprid 수 화제 (주성분함량 20%, 상표명 모스피란), dinotefuran 수화제 (10%, 오신), imidacloprid 액상수화제 (8%, 코 니도), thiamethoxam 입상수화제 (10%, 아타라) 등 4종 과 디아마이드계 cyclaniliprole 수용제 (4.5%, 라피탄), cyantraniliprole 유제 (5%, 프로큐어) 등 2종, 그리고 피 레스로이드계 etofenprox 유제 (20%, 세베로), 그리고 sulfoxaflor 입상수화제 (7%, 스트레이트), flupyradifurone 액제 (17.09%, 시반토), spinetoram 액상수화제 (5%, 엑 설트), emamectin benzoate 유제 (2.15%, 에이팜), pyriproxyfen 유제 (10%, 신기루), pyrifluquinazon 입상수화제 (10%, 팡파레), pyridaben 수화제 (20%, 산마루) 등 살충기 작이 다른 각 1종을 포함하여 총 14종이었으며 (Table 2), 각 각의 약제를 증류수에 시험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2.3. 생물검정

    생물검정은 Insect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에 서 제안한 시험법 #016 (IRAC 2023)과 유사한 Jeong et al. (2020)의 엽침지법 (leaf dipp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살충제를 각 시험농도에 맞게 증류수로 희석하여 희석액 에 오이 잎 절편 (직경 3.5 cm)을 만들어 30초간 침지한 후, 후드 안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별도로 0.8%의 agar 배 지를 페트리디쉬 (Φ5×h 1.5 cm, SPL #310050; SPL Life Sciences, Korea)에 부어 굳힌 다음 그 위에 살충제 처리 후 건조한 오이절편을 뒷면이 위로 향하게 올려놓았다. 담 배가루이 성충을 페트리디쉬당 20마리씩 접종하고 망사 가 있는 뚜껑을 닫은 후 항온기 내 (25±2°C, 60±5% RH, 16L : 8D)에 두고, 살충제별 처리 후 조사시간을 달리하여 1회 사충수를 조사하였다. 성충의 사망 여부는 실체현미경 (Olympus SZX12; Olympus, Japan)을 이용하여 곤충핀으 로 시험 곤충을 건드렸을 때, 움직임의 유무로 판단하였다. 살충률은 무처리의 자연사망률을 고려한 보정사충률 (%) 로 구하였으며 (Abbott 1925), 모든 실험 처리는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담배가루이 지역집단에 대한 약제별 살충력 조사

    국내 담배가루이 12개 지역집단의 성충에 대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14개 살충제들의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적 정사용약량 (추천농도, recommended concentration, RC) 과 그 10배 (0.1RC), 100배 (0.01RC) 희석 농도에서의 살충 력 (%)을 실내 검정하였다 (Tables 3 and 4, Fig. 1). 결과 지 역에 따라 살충력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나, etofenprox, thiamethoxam, pyriproxfen, pyridaben 등 4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살충제들은 추천농도에서 70% 이상의 살충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flupyradifurone, emamectin benzoate, cyantraniliprole은 모든 조사 지역집단에서 90% 이상의 높은 살충력을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들도 1~5개 지역에 서만 90% 이하의 살충력을 보였다. 따라서 국내 담배가루 이 성충의 방제에 있어서 몇몇 약제를 제외하고는 충분한 방제 효과를 갖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피레스로이드 (pyrethroids)계 약제인 etofenprox는 경 기 광주 (52%)와 안성 (54%), 경남 창녕 (46%), 전남 순천 (64%)과 고흥 (66%) 지역의 고추, 콩, 토마토, 오이 등 재배 작물과 상관없이 추천 농도에서 70% 이하의 살충력을 보 였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의 4종 약제들 가운데 actamiprid, dinotefuran, imidacloprid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90% 이상의 살충력을 보였으며, 경북 상주와 경남 진주에서 는 100배 희석농도 (0.01RC)에서도 90% 이상이었다. 10 여 년 전에 수행된 thiaclorpid와 clothianidin을 포함하 여 5종 네오니코니티이드 살충제가 전국 9개 지역집단에 서 거의 효과가 없었던 연구 결과 (Lee et al. 2010)와 상 반된 결과로 그동안 이들 네오니코티노이드 약제에 대 한 담배가루이의 감수성이 많이 회복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amethoxam은 위 동일계열 약제들과 달리 많은 지역에 서 낮은 살충력을 보였으며, 경기 광주 (58%), 안성 (37%), 충남 논산 (58%), 경남 창녕 (60%), 전북 완주 (59%), 정읍 (48%), 전남 순천 (53%)지역에서의 살충력이 60% 이하였 다. Thiamethoxam은 같은 계열의 살충제들과 낮은 교차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추측되며, 이는 Lee et al. (2010) 의 연구에서 보인 약제별 군집분석을 통해 thiamethoxam 과 thiaclorpid가 형성한 그룹이 타 네오니코티노이드 약제 와 다르게 그룹화되어 서로 살충작용 기구가 다를 것이라 고 유추했던 것과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와 유사하게 니코틴아세틸콜린수 용체 (nicotine acetylcholine recepter)에 작용하는 sulfoxaflor과 flupyradifurone도 전 조사 지역에서 우수 한 살충력을 보여주었다. Sulfoxaflor의 희석 농도에서도 살충 활성 패턴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3종 (우수한 살충 력을 보였던)과 유사하게 지역적 차이를 나타냈으나 flupyradifurone은 10배 희석농도 (0.1RC)에서 지역 간 차이 없이 모든 지역에서 높은 살충력 (78% 이상)을 보였다.

    스피노신 (spinosyns)계 spinetoram과 항생제 (antibiotics) 계 emamectin benzoate는 시험한 살충제들 가운 데 가장 우수한 살충력을 보여주었다. 다만, spinetoram 은 전북 완주의 오이재배 포장에서 다른 지역 (0.1RC에서 74~99%의 살충력)에 비하여 살충활성이 다소 낮아 (RC 76%, 0.1RC 25%) 저항성이 의심된다. 그러나, emamectin benzoate는 모든 지역에서 추천농도 (살충력 100%) 및 0.1RC (70%이상)에서 높은 살충력을 보였고 일부 지역에 서는 0.01RC에서도 50% 이상의 살충력을 보였다. 이들 두 살충제의 약제반응 결과는 Jeong et al. (2020)의 결과와 일 치하였다. 반면, Kim et al. (2021)의 결과에서 spinetoram 의 저항성 발달 수준이 경기 평택 등 조사한 전 지역에서 높지 않았다는 것은 본 연구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으나, emamectin benzoate의 저항성의 경우는 충북 진천, 충남 논산, 경북 영천과 제주 서귀포 집단에서 매우 높게 발달하 여 본 연구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였다. Kim et al. (2021)은 바이알법을 이용하여 저항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바이알법 은 고농도 (2,800 mg L-1)의 원제를 바이알 표면에 코팅 처 리하여 8시간 이내에 시험 해충의 잔류접촉 독성만으로 살 충활성을 평가하는 방법인데 본 연구에서는 엽침지법을 이용하였다. 두 실험 결과의 차이는 검정법의 차이에 기인 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실제 담배가루이 성충 의 emamectin benzoate에 대한 약제에 대한 반응이 잔류 독성뿐만 아니라 섭식독성 및 약효발효 시간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함께 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곤충의 유약호르몬 (juvenile hormone) 유사 구조로써 곤충생장조절제 (insect growth regulator)인 pyriproxifen 은 다른 종류의 약제들보다 살충활성이 낮은 지역이 비교 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천농도에서의 살충력이 낮았던 경기 안성 (21%), 충남 논산 (61%), 당진 (61%), 경 북 안동 (56%), 경남 창녕 (46%), 전북 정읍 (40%) 지역에서 는 저항성이 높게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곤충의 척삭기관 (chorodontonal organ)에 작용하 여 신경 반응과 근육의 운동을 저해하는 살충제인 pyrifluqunazon은 emamectin benzoate와 더불어 담배가루이 지역집단에 가장 우수한 살충력을 보여주었다. 대부분 지 역집단에 대하여 추천농도에서 90% 이상, 0.1RC에서 70% 이상의 살충력을 보였으며, 0.01RC에서도 30% 이상의 살 충력을 보여 저항성이 거의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 었다.

    충남 당진 (61%)과 전북 정읍 (65%)지역을 제외하고 pyridaben은 디아마이드 (diamide)계 살충제인 cyclaniliprole 및 cyantraniliprole과 함께 전반적으로 지역에 상관 없이 추천농도의 살충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Jeong et al. (2020)의 결과와도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경 기 안성, 충남 당진, 경북 상주, 경남 창녕, 진주, 전북 완주 및 전남 고흥지역은 0.1RC에서 50% 이하의 살충력을 보 여 향후 저항성 발달 가능성이 높아 사용에 있어 주의가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 지역집단들은 안성집단 (노지 콩)을 제 외하고는 대부분의 시설재배 채소에서 채집한 것들로 재 배작물에 따른 약효반응의 경향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는 재배작물에 따른 살충제의 노출 패턴이 유사하기 때문 인 것으로 추정된다. 고추, 참외, 오이, 토마토 등은 담배가 루이뿐 아니라 총채벌레, 진딧물 등의 해충도 많이 발생하 여 작기 중에 살충제에 대한 노출이 잦은 작물들이다. 또한 사용하는 살충제들도 이 해충들에 대하여 복수 등록되어 있다 (RDA 2023). 따라서 시설재배 해충의 저항성 및 약효 반응은 재배 작물에 따른 경향보다는 지역에 따른 살충제 의 사용량과 사용빈도에 대한 정보를 검토하여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3.2. 지역별 담배가루이 관리를 위한 약제 선발

    본 연구에서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약제들의 추천 농도 및 0.1RC, 0.01RC에서의 살충력 조사을 통해 방제약 제들의 약효 수준을 살펴보았다. 어느 지역 해충집단에 대 한 약효가 다른 집단과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저항성의 발 달수준의 차이가 가장 크게 작용한다 (Sparks and Nauen 2015). 약제저항성은 어떤 해충 집단이 높은 살충활성을 보이던 약제 농도에서 더 이상 기대하는 살충력을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IRAC 2007). 살충제 처리가 도 태압으로 작용하여 해충집단 내에 감수성 개체수를 감소 시키고 저항성 개체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써 감수성 개 체군 대비 시험개체군의 살충력에 차이로 확인된다. 따라 서, 약제저항성 수준은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Stanley 2014). 약제가 저항성 발달이 관찰되었다고 하여 농업현장에서 실제로 약효가 없다고 쉽게 판단할 수 없다. 더구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저항성 유무보다는 사용하고 있는 약제의 약효 (방제력) 유무, 즉 약제의 처리로 해충으 로부터 작물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지 여부에 더 관심을 갖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천약량에서의 살충력을 검정하였으며, 이 검정은 저항성 진단법의 하나로 제시되는 단일농도진 단법 (single discriminating dose approach) (Roush and Miller 1986;Stanley 2014;Jeon et al. 2017)과 유사하고 진 단농도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추천약량을 진단농도로 대체한 것에서 차이가 있다. 추천약량에서의 살충력 자료 를 통해 현재 약효 유무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파악하여 농 민에게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 희석농도에서의 살충력 검 정을 통해 잠재된 살충력의 지역 간의 차이 즉 저항성 발달 의 차이를 간접적으로 유추하여 향후 살충제 약효 감소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 농약의 약효평가는 일반해충 (담배가루이 포 함)의 경우, 방제가 90% 이상을 보일 때 신규 살충제로 품 목등록을 할 수 있다 (RDA 20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 약효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검정 결과에 따른 살충제 의 약효수준을 분류해 보고자 하였다. 추천농도 (RC)에서 살충력이 90% 이상이면 우수한 약제로 분류하고 그 가운 데 희석농도 (0.1RC)에서도 70% 이상의 활성을 갖고 있으 면 매우 우수한 약제로, 희석농도에서 급격히 활성 (30% 이 하)이 낮거나 주변 지역에서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약제는 저항성 관리를 위하여 사용상 주의가 필요한 약제로 재분 류하였다. 추천 농도에 70~90% 살충력을 보이면 약효 발 현이 주변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한 약 제로 분류하고, 추천 농도에서의 살충력이 70% 이하는 약 효가 낮을 가능성이 높아 사용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한 약 제로 분류해 보았다 (Fig. 1).

    따라서, 경기 지역 (광주, 안산)에서는 etofenprox, thiamethoxam과 pyriproxifen은 사용을 피하고, imidacloprid 등 네오니코티노이드계와 cyclaniliprole은 주의하여 사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flupyradifurone, spinetoram, emamectin benzoate, pyrifluquinazon과 cyantraniliprole 을 높은 약효를 보여 사용상 큰 문제가 없는 약제들이라 할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충남지역 (논산, 당진)은 thiamethoxam, pyriproxifen, pyridaben의 약효가 매우 낮고 etofenprox, dinotefuran도 약효가 낮아 사용에 주 의가 필요하며, 경북지역 (상주, 안동)은 etofenprox, thiamethoxam 및 sulfoxaflor 3종 약제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 고, 경남지역 (창녕, 진주)은 etofenprox와 thiamethoxam, pyriproxifen, acetamiprid, dinotefuran, imidacloprid, sulfoxalor, pyridaben cyclaniliprole 등은 사용상 주의가 필요한 약제들이었다. 전북 (완주, 정읍)과 전남 (순천, 고 흥)도 시설재배가 많은 지역으로 경기도나 경남지역처럼 저항성으로 인한 낮은 약효를 보이는 약제들이 많았다. 특 히, etofenprox는 전남지역에서, thiamethoxam은 전북 (완 주, 정읍)과 전남 순천에서, pyrifloxifen과 pyridaben은 전 북 완주지역에서 매우 낮은 약효를 보여주었으며, 네오니 코티노이드계 살충제도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에서 우리는 담배가루이 지역집단들에 대한 살충제 의 약제반응을 살펴보았다. 악명높은 침입종의 하나인 담 배가루이는 우리나라에 비교적 최근에 침입하였으나 빠르 게 전국적으로 확산하였으며, 방제에 있어서 화학적 살충 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등록된 살충제만도 258개 품목에 778개 제품들이 있다 (RDA 2023).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 업현장에서는 어떠한 약제의 사용이 적절한지에 대한 민 원이 매우 많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작용기작별로 사용 량이 많은 약제를 대상으로 약효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저 항성 발달로 인하여 주의하여 사용해야 하는 약제와 효과 가 우수한 약제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영농 현장에서 담배가루이 약제 방제효율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저항성 발달로 인한 불필요한 약제 사용을 줄여서 농약의 사용량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적 요

    침입해충인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Gennadius)의 12개 지역집단에 대하여 살충제 14종의 추천농도 (RC, recommended concentration)와 추천농도의 10배 (0.1RC), 100배 (0.01RC) 희석농도에서의 살충력 (mortality)을 엽침 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Etofenprox, thiamethoxam, pyriproxyfen, pyridaben 등 4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살 충제들은 추천농도 (RC)에서 70%에서 100%의 우수 한 살충력을 보였고, 특히 flupyradifurone, emamectin benzoate, cyantraniliprole은 모든 조사 지역에서 90% 이 상의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낮은 살충력을 보인 지역집단 은 etofenprox의 경우 경기 광주 (52%)와 안성 (54%), 경 남 창녕 (46%), 전남 순천 (64%)과 고흥 (66%) 지역이었으 며, thiamethoxam은 경기 광주 (58%), 안성 (37%), 충남 논 산 (58%), 경남 창녕 (60%), 전북 완주 (59%), 정읍 (48%), 전남 순천 (53%) 지역이었고, pyriproxyfen은 경기 안성 (21%), 충남 논산 (61%), 당진 (61%), 경북 안동 (56%), 경 남 창녕 (46%), 전북 정읍 (40%) 지역 그리고, pyridaben은 충남 당진 (61%)과 전북 정읍 (65%) 지역이었다. 또한 희석 농도에서 급격히 활성 (30% 이하)이 낮아지거나 주변 지역 에서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약제들은 저항성 발달 가능성 이 높아 지역에 따라 주의가 필요한 약제로 분류하였다. 본 결과를 통하여 지역별 우수한 약제들을 선발할 수 있었으 며 이들 약제반응 정보를 활용하면 영농현장에서 살충제 의 남용은 줄고 담배가루이 방제효율이 증대될 것으로 기 대된다.

    사 사

    본 논문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농촌진흥청의 생물다양 성위협 외래생물관리기술개발사업 (과제번호: RS-2021- RD00988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결과의 일부입 니다.

    CRediT authorship contribution statement

    IH Jeong: Methodology, Conceptualization, Writing- Original draft. L Kim: Investigation, Data analysis, Writing- Review & editing. SH Kim: Writing-Review & editing. JH Lee: Investigation, Writing-Review & editing. KA Yoon: Writing-Review & editing. SH Lee: Conceptualization, Supervision.

    Declaration of Competing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

    KJEB-41-4-627_F1.gif

    Heatmap showing the mortality of Bemisia tabaci populations at each insecticide concentration. RC, recommended concentration; 0.1RC, 10-fold RC dilution. Detailed information about abbreviated local groups can be found in Table 1.

    Table

    Collection site and collection date of Korean Bemisia tabaci populations

    Tested insecticides

    aEC, Emulsifiable concentrate; WP, Wettable powder; SC, Suspension concentrate; WG, Water dispensable granule; SL, Soluble concentrate
    bRC: Recommended concentration for <i>Bemisia tabaci</i> control
    cDT: Discrimination time after insecticide treatment in bioassay.

    Mortality of Bemisia tabaci local populations from treatment with pyrethroid (3a), neonicotinoid (4a), sufoxamin (4c), and butenolide (4d) insecticides

    aEC, Emulsifiable concentrate; WP, Wettable powder; SC, Suspension concentrate; WG, Water dispensable granule; SL, Soluble concentrate.
    bRC: Recommended concentration for <i>Bemisia tabaci</i> control.
    *Detailed information on the local group can be found in Table 1.

    Mortality of Bemisia tabaci local populations from treatment with spinosyn (5), avermectin (6), IGR (7a), pyridine azomethine (9b), pyridazinone (21a) and diamide (28) insecticides

    aEC, Emulsifiable concentrate; SC, Suspension concentrate; WG, Water dispensable granule; SL, Soluble concentrate.
    bRC: Recommended concentration for <i>Bemisia tabaci</i> control.
    *Detailed information on the local group can be found in Table 1.

    Reference

    1. Abbott WS. 1925. A method of comput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secticide. J. Econ. Entomol. 18:265-267.
    2. Abd-Rabou S and AM Simmons.2010. Survey of reproductive host plant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n Egypt, including new host records. Entomol. News 121:456- 465.
    3. Ahmad M , MI Arif and M Naveed.2010. Dynamics of resistance to organophosphate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the cotton whitefly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from Pakistan. J. Pest Sci. 83:409-420.
    4. Chen W , DK Hasegawa, N Kaur, A Kilot, PV Pinheiro, J Luan, MC Stensmyr, Y Zheng, W Liu, H Sun, Y Xu, Y Luo, A Kruse, X Yang, S Kontsedalov, G Lebedev, TW Fisher, DR Nelson, WB Hunter, JK Brown, G Jander, M Cilia, AE Douglas, M Ghanim, AM Simmons, WM Wintermantel, KS Ling and Z Fei.2016. The draft genome of whitefly Bemisia tabaci MEAM1, a global crop pest, provides novel insights into virus transmission, host adaptation, and insecticide resistance. BMC Biol. 14:110-124.
    5. Guo CL , IH Jeong, D Chu and YZ Zhu.2022. First report of the invasion of Q2 subclade of Bemisia tabaci MED in South Korea as revealed by extensive field investigation. Phytoparasitica 50:91-100.
    6. Horowitz AR , S Kontsedalov, V Khasdan and I Ishaaya.2005. Biotypes B and Q of Bemisia tabaci and their relevance to neonicotinoid and pyriproxyfen resistance. Arch. Insect Biochem. Physiol. 58:216-225.
    7. IRAC.2007. Resistance Manage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Improved Public Health. Insect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 CropLife International AISBL. Brussels, Belgium. p. 6.
    8. IRAC.2023. Test Method Library. Insect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 https://irac-online.org/test-methods/test-methodlibrary/. Accessed July 15, 2023.
    9. Jeon SW , B Park, SK Park, SK Lee, HJ Ryu, SB Lee and IH Jeong.2017. Establishment of discriminating concentration based assessment for insecticide resistance monitoring of palm thrips. Korean J. Environ. Biol. 35:557-565.
    10. Jeong IH , B Park, GS Lee, Q Wu, F Li, Z Zhang and Y Zhu.2020. Comparison of B and Q biotype distribution, insecticidal mortality, and TYLCV viruliferous rat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ocal populations of Bemisia tabaci. Korean J. Environ. Biol. 38:616-624.
    11. Kim S , SJ Kim, S Cho and SH Lee.2021. Insecticide resistance monitoring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e)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60:167-173.
    12. Lee ML , SB Ahn and WS Cho.2000.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misia tabaci (Gennadius) (Homoptera: Aleyrodidae) and discrimination of their biotypes in Korea by DNA Markers. Korean J. Appl. Entomol. 39:5-12.
    13. Lee SW , SG Lee, JJ Kim, CK Park, HH Park, KH Kim and BY Choi.2010. Neoniconoid resistance of Bemisia tabaci local populations and its clustering analysis. p. 63. In: Proceedings of Spring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Yesan, Korea.
    14. Lee W and GS Lee.2017. Reassessment of the taxonomic status of the Bemisia tabaci complex (Hemiptera: Aleyrodidae) based on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Korean J. Appl. Entomol. 52:107-120.
    15. Lee W , J Park, GS Lee, S Lee and S Akimoto.2013. Taxonomic status of the Bemisia tabaci complex (Hemiptera: Aleyrodidae) and reassessment of the number of its constituent species. PLoS One 8:e63817.
    16. Luo C , CM Jones, G Devine, F Zhang, I Denholm and K Gorman.2010. Insecticide resistance in Bemisia tabaci biotype Q (Hemiptera: Aleyrodidae) from China. Crop Prot. 29:429-434.
    17. Nauen R , N Stunpf and A Elbert.2002. Toxicological and mechanistic studies on neonicotinoid cross resistance in Q-type Bemisia tabaci (Hemiptera : Aleyrodidae). Pest Manag. Sci. 58:868-875.
    18. Navas-Castillo J , E Fiallo -Olivé and S Sánchez-Campos.2011. Emerging virus diseases transmitted by whiteflies. Annu. Rev. Phytopathol. 49:219-248.
    19. Perring TM. 2001. The Bemisia tabaci species complex. Crop Prot. 20:725-737.
    20. RDA.2021. Criteria for registion of pesticides and active substances attach 3. pp. 228-241. In: Pesticide Control Act, Notices and Instructions (RDA Agro-Material Industry Division, ed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21. RDA.2023. Pesticide Safety Information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ttps://psis.rda.go.kr/psis/index.ps. Accessed July 15, 2023.
    22. Roush RT and GL Miller.1986. Considerations for design of I nsecticide resistance monitoring programs. J. Econ. Entomol. 79:293-298.
    23. Sparks TC and R Nauen.2015. IRAC: Mode of action classification and insecticide resistance management. Pest. Biochem. Physiol. 121:122-128.
    24. Stanley BH. 2014. Monitoring resistance. pp. 485-513. In: Insecticide Resistance Management. Biology, Economics, and Prediction (Onstad DW, ed.). Second Edition. Academic Press. London, United Kingdom.
    25. Wang R , JD Wang, WN Che and C Luo.2018. First report of field resistance to cyantraniliprole, a new anthranilic diamide insecticide, on Bemisia tabaci MED in China. J. Interg. Agric. 17:158-163.
    26. Wang R , W Che, J Wang and C Luo.2020. Motoring insecticide resistance and diagnostic of resistance mechanisms Bemisia tabaci Mediterranean (Q bitotype) in China. Pestic. Biochem. Physiol. 163:117-122.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