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43 No.3 pp.197-212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25.43.3.197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Ji-Eun Park, Yoo-Jung Park, Halam Kang, Ha-Rim Lee, Ho-Kwon Kwak, Jin-Kyu Seo, Hye-Yeon Kim, Jae-Eun Choi, Kyeong-Sik Ch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Wonju 26339,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Kyeong-Sik Cheon Tel. 033-730-0431 E-mail. cheonks@sangji.ac.kr

Contribution to Environmental Biology


▪ This comprehensive flora survey of Ungseokbong County Park documents a total of 461 taxa, providing crucial baseline data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04/04/2025 26/06/2025 07/07/2025

Abstract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was surveyed 11 times from April 2023 to September 2024. The surveys revealed 461 taxa, comprising 101 families, 288 genera, 417 species, 11 subspecies, 30 varieties, and three forms. Of these, two taxa were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six taxa as rare plants, and 19 taxa as Korean endemic plants. The study also documented a total of 69 taxa as floristic regional plants, specifically two taxa of grade V, five taxa of grade IV, 11 taxa of grade III, 18 taxa of grade II, and 33 taxa of grade I. Furthermore, six taxa were identified as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comprising two northern species and four southern species. Forty-four taxa of alien plants and four taxa of ecosystem-disturbing plants were also found in this area. This study, based on reference specimens, provides fundamental data on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resourc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웅석봉군립공원 (산청, 경상남도)의 관속식물상

박지은, 박유정, 강하람, 이하림, 곽호권, 서진규, 김혜연, 최재은, 천경식*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1. 서 론

    웅석봉군립공원이 속한 산청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군의 서부 전역에는 천왕봉 (1,915 m)을 포함한 지리산국립공원이 자리하고 있고, 동북부는 황매산(1,103 m)이 합천군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산청군은 전체 면적의 약 77%가 임야로 구성되어 있어 우리나라 대표 산악지대에 속한다 (SKNP 1985;SCO 2022). 산청군은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의 산림 식생을 대표할 수 있는 지역으로 식물구계는 남부아구, 산림대는 난온대낙엽수림에 해당하며, 평균기온은 13.0°C, 강수량은 1,556.2 mm로 기후는 온대 기후구에 속하지만 내륙 고산지역의 특성이 반영되어 대륙성 기후도 나타난다 (SCO 2017;EKC 2024;KMA 2024).

    웅석봉은 지리산의 천왕봉에서 갈라져 나와 산청읍 내리, 삼장면 홍계리, 단성면 청계리에 걸쳐 있는 준험한 산지로 과거에는 유산으로 불리었으나 산꼭대기가 곰의 모양과 같다 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SCO 2017). 지리적으로는 북위 35°20ʹ04ʺ~35°23ʹ58ʺ, 동경 127°50ʹ 56ʺ~ 127°54ʹ52ʺ에 위치하며, 해발고도는 1,099 m로 공원 대부분이 500~900 m에 속해 있을 정도로 고지대이다 (SKNP 1985). 또한 북동쪽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평균 경사가 30° 이상일 정도로 험준하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으로 어천계곡, 웅석계곡, 백운계곡 등 많은 계곡이 발달해 풍부한 수원을 가진다 (SKNP 1985;An and Choo 2010). 또한 본 공원의 밤머리재 주변의 계곡부에서부터 정상 방향 해발고도 약 950 m 사이에는 한국특산식물이자 희귀식물인 히어리(Corylopsis coreana Uyeki)가 대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ME 2002), 이는 국내 최대 분포지로 알려져 있어 웅석봉군립공원이 히어리의 분포에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웅석봉은 계곡, 폭포, 산봉 등 21곳의 수려한 경관을 포함하여 자연·생태적 가치가 인정되어 1983년 11월 23일에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ME 2024a).

    자연공원은 수려한 경관을 보고 즐기기 위해 연간 등산객과 방문객의 수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중 무분별한 이용과 개발은 생태계 기능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며, 등산로 폭의 증가와 함께 잔존 식생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분기등산로 발생 또한 단위면적에 비해 풍부한 것으로 평가되는 식물다양성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im et al. 2007;Kim et al. 2024;ME 2024a).

    식물의 분포는 기후, 토양, 육지와 바다의 분포 변화, 각 식물 분류군이 갖는 분산 능력과 전이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기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Kim 2000). 식물상 연구는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여 국토 이용이나 보전에 관련된 생태자연도 작성 및 갱신과 국가 자연환경 및 자원보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NIE 2019), 증거표본 및 화상자료를 수반하여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식물상 변화에 대한 평가 및 예측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기후환경 및 생물다양성을 기록할 수 있는 분야이기에 더욱 중요하다 (Im 1999;Kang et al. 2022).

    웅석봉군립공원의 식물상은 웅석봉군립공원 자연자원 조사(SCO 2005), 웅석봉군립공원 마근담계곡의 식물사 회학적 식생구조와 식물상(Kim 2019) 및 백운계곡을 중심으로 한 웅석봉군립공원의 관속식물상 연구(Choo et al. 2022) 등이 수행된 바 있으나 해당 연구들은 일부 지역만을 대상으로 하였거나 증거표본이 수반되지 않아 과학적 증거자료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거표본에 의한 웅석봉군립공원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공원관리 및 식물자원 보존과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현지조사는 2023년 4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Table 1), 조사경로는 Fig. 1과 같다.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수집하여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였으며, 증거표본은 상지대학교 식물 표본관(SJUH)에 보관하였다. 한편, 멸종위기야생생물은 화상자료를 확보하여 보관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Lee (1996), Lee (2003a, 2003b), Lee (2006a, 2006b) 등의 도감을 참고하였으며, 관속식물의 목 록은 국가표준식물목록 (KNA 2024)에 따라 작성하였고, 과 내 속명과 종명은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다 (Appendix Table A1). 또한 식재되어 있는 종의 경우 국명 뒤에 (식) 표시를 넣어 구분하였다. 작성된 식물목록에 대하여 멸종 위기야생생물 (ME 2024b), 희귀식물 (KNA 2021), 한국특 산식물 (Chung et al. 2023),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NIE 2018), 국외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 (ME 2019),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KNA 2010), 외래식물 (Kang et al. 2020), 생태계교란야생생물 (ME 2024c)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귀 화율 (Numata 1975)과 도시화지수 (Yim and Jeon 1980)를 산출하였다.

    또한 웅석봉군립공원의 선행 연구 (SCO 2005;Kim 2019;Choo et al. 2022) 및 인접지역인 지리산 (Jang et al. 2007), 연화산 (Min 2018), 황매산 (Kim et al. 2020), 기백산 (Park et al. 2020)의 식물목록에 새롭게 개정된 국가표준식물목 록 (KNA 2024)을 적용하여 변경 후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하 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관속식물의 종류조성

    웅석봉군립공원에서 수집된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은 101과 288속 418종 11아종 29변종 3품종으로 총 461분류군이며,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881분류군의 9.44%에 해당하였다 (KNA 2024).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24분류군(5.21%), 나자식물이 6분류군(1.30%), 피자식물은 431분류군(93.49%)으로 이 중 쌍자엽식물은 349분류군(80.97%), 단자엽식물은 82분류군(19.03%)이었다(Table 2). 과별 구성종에 의한 다양성은 국화과가 53분류군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벼과(27분류군), 콩과(25분류군), 장미과(23분류군), 백합과(22분류군), 제비꽃과(16분류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인 자연자원조사 490분류군(SCO 2005) 및 웅석봉군립공원 마근담 계곡의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와 식물상 442분류군(Kim 2019)과 비슷하였으며, 백운계곡을 중심으로 한 식물상 조사 366분류군(Choo et al. 2022)보다는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조사면적, 시기, 경로, 횟수 등에 의한 차이로 판단된다. 또한 인접지역 중 웅석봉군립공원에 비해 해발고도가 높고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지리산(1,726분류군), 황매산(617분류군), 기백산(648분류군)에 비해서는 식물다양성이 낮았으며(Jang et al. 2007;Kim et al. 2020;Park et al. 2020), 해발고도가 낮고, 비교적 면적이 좁은 연화산(422분류군)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Min 2018).

    한편, 본 공원의 동사면 계곡부에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히어리,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점현호색(Corydalis maculata B.U. Oh & Y.S.Kim) 등 보전가치가 높은 종류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해당지역이 주요 식물의 핵심지역으로 생각된다.

    3.2. 멸종위기야생생물

    멸종위기야생생물이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야생생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지정·보호하는 생물을 말한다(ME 2024b). 본 조사에서는 멸종위기야생식물 1급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위협요인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멸종의 우려가 있는 2급은 세뿔투구꽃(Fig. 2A)과 나도승마(Kirengeshoma koreana Nakai, Fig. 2B) 등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Table 3). 이전 연구에서는 노랑붓꽃(Iris koreana Nakai), 백부자[Aconitum coreanum (H.Lév.) Rapaics],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 세뿔투구꽃 등 총 4분류군의 멸종위기야생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SCO 2005), 금번 연구에서는 노랑붓꽃, 백부자, 산작약 등 3분류군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나도승마는 새롭게 조사되었다.

    이 중 나도승마는 한국특산식물로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의 전라남도 광양시와 경상남도 산청군에만 분포하는 매우 희귀한 식물로서 토양습도가 비교적 높은 곳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IE 2023). Kim et al. (2023)의 연구 결과 웅석봉의 나도승마 핵심 생육지는 국내 나도승마 전체 분포 면적의 47.25%를 차지할 정도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중요한 지역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선행 연구(NIE 2021) 및 본 연구에서 숲 가꾸기 사업 등으로 인해 주변 일대 상당 면적의 식생이 훼손된 것으로 확인되어 개체군의 크기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지속적인 관찰을 통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뿔투구꽃 또한 대표적인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등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산지 사면 및 가장자리의 서늘한 곳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rk 2007). 본 조사 결과 동사면 일대에 개체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주로 등산로에 인접한 지역에 자생하고 있어 인위적 훼손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여 이에 대해서도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3. 희귀식물

    희귀식물이란 일반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식물로서 종의 지리적인 분포영역, 지역집단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분포 범주를 각 등급으로 설정한 식물을 말한다 (KNA 2021). 본 조사에서는 약관심(Least Concern, LC), 정보부족(Data Deficient, DD), 미적용(Not Applicable, NA), 미평가(Not Evaluated, NE) 등 당장의 절멸 위험이 적은 등급들을 제외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위급(Critically Endangered, CR) 등급인 나도승마 1분류군과 준위협(Near Threatened, NT) 등급인 삼도하수오(Fallopia koreana B.U.Oh & J.G. Kim), 히어리(Fig. 2C) 등 5분류군을 포함한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4).

    웅석봉군립공원은 히어리의 국내 최대 군락지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본 조사에서도 해발고도 약 400 m 지점부터 정상 부근까지 연속적인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본 공원의 대표적 경관자원으로 생각되지만, 많은 관광객을 유입시켜 생태계를 훼손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도 판단된다. 따라서 훼손을 최소화하며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갖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본 종은 우리나라 대표적 잔존종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과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종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어 (Kim et al. 2014), 본 공원이 기후변화에 대한 중요한 연구 대상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전 연구와의 비교 결과, 히어리 1분류군은 모든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조사되었고, 나도승마와 삼도하수오 2분류군은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SCO 2005;Kim 2019;Choo et al. 2022). 인접지역 식물상과의 비교 결과에서는 지리산(71분류군)보다는 적었으며 (Jang et al. 2007), 연화산(2분류군), 황매산(3분류군), 기백산(5분류군)보다 웅석봉이 더 많은 희귀식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고 (Min 2018;Kim et al. 2020;Park et al. 2020), 희귀 식물 중 삼도하수오는 웅석봉군립공원에서만 유일하게 조사되었다.

    3.4. 한국특산식물

    한국특산식물이란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식물로서 환경변화에 취약하여 우선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는 식물을 말한다 (Chung et al. 2023). 본 조사에서는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점현호색,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Fig. 2D] 등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소산식물의 4.12%에 해당하고 한국특산 식물 전체 373분류군의 5.09%에 해당하였다 (Table 5, Fig. 2D).

    선행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나래완두(Vicia angustepinnata Nakai), 금오족도리풀[Asarum patens (Yamaki) Y.N.Lee ex B.U.Oh, D.G.Jo, K.S.Kim & C.G.Jang] 등 11분류군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SCO 2005;Kim 2019;Choo et al. 2022). 인접한 지역에서는 지리산(68분류군)에서 가장 많은 한국특산식물이 조사되었으며 (Jang et al. 2007), 다음으로는 기백산(24분류군), 황매산(17분류군), 연화산(7분류군) 순으로 높은 한국특산식물의 다양성을 보였다(Min 2018;Kim et al. 2020;Park et al. 2020). 조사된 한국특산식물 중 모든 지역에서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은 병꽃나무 1분류군이었으며, 삼도하수오와 점현호색 2분류군은 웅석봉군립공원에서만 조사되었다. 이 중 삼도하수오는 계곡을 따라 남동 또는 동사면의 등산로와 매우 인접한 지역에 소수의 개체가 분포하여 답압 또는 남획에 의한 훼손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3.5.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국외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이란 식물생태계 환경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식물군을 말하며, 현재 1,476분류군이 총 5개의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다(NIE 2018). 본 조사지에서는 소산식물의 14.97% 및 식물구계학적특 정식물의 4.67%에 해당하는 총 6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Table 6), 등급별로는 협소한 지역에 고립되거나 불연속성을 보이는 V등급은 세뿔투구꽃, 나도승마 2분류군, 북방계나 남방계 식물로 1개 아구에 분포하는 IV등급은 세잎승마 [Actaea bifida (Nakai) J.Compton], 중나리[Lilium leichtlinii subsp. maximowiczii (Regel) J.Compton] 등 5분류군, 북방계나 남방계 식물로 2개 아구에 분포하는 III등급은 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 병조희풀(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등 11분류군, 비교적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1,000 m 이상에 분포하는 II등급은 꿩고비(Osmunda cinnamomea L.), 오리나무 [Alnus japonica (Thunb.) Steud.] 등 18분류군, 북방계나 남방계 식물로 3개 아구에 분포하는 I등급은 봉의꼬리(Pteris multifida Poir.), 홀아비꽃대[Chloranthus quadrifolius (A.Gray) H.Ohba & S.Akiyama] 등 총 33분류군이었다.

    국외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은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하여 보호할 가치가 높아 국외로 반출할 경우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환경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생물자원을 말하며 (ME 2019), 본 조사지에서는 소산식물의 32.54%, 국외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 1,117분류군의 13.43%에 해당하는 15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Appendix Table A1).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우리나라 자생식물 중 기후 변화에 민감하거나 취약하기에 우선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식물을 말하며 (KNA 2010), 웅석봉군립공원에는 한반도 북부 및 중부 이북에 주로 분포하는 북방계식물은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흰참꽃나무(Rhododendron sohayakiense var. koreanum Y.Watan. & T.Yukawa) 2분류군이며, 남부와 중부 이남에 주로 분포하는 남방계 식물은 나도밤나무(Meliosma myriantha Siebold & Zucc.),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L.f.) Müll. Arg] 등 4분류군으로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7).

    3.6.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외래식물이란 국외의 자생지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우리나라에 옮겨져 몇 세대에 걸쳐 토착화된 식물을 말한다 (Lee et al. 2011). 본 조사에서 확인된 외래식물은 소리쟁이(Rumex crispus L.),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Fig. 2E), 오리새 (Dactylis glomerata L.) 등 총 44분류군이며(Table 8, Fig. 2E), 국화과가 17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9.54%와 7.11%로 산출되었다. 외래식물은 국내 유입시기와 정착 여부에 따라 1876년 개항 이전에 유입되어 정확한 유입시기 및 경로를 밝히기 어려운 사전귀화식물(Achaeophyte, Arc.)과 자연생태계로의 확산가능성이 있는 잠재침입식물(Potentially invasive plant, PIP), 국내에 의도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되어 몇 세대에 걸쳐 야생화된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 IAP)로 분류되며(KNA 2016;Kang et al. 2020), 웅석봉군립공원에는 사전귀화식물(Arc.) 6분류군, 잠재침입식물(PIP) 1분류군, 침입외래식물(IAP) 37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이전 연구에서는 39분류군(SCO 2005), 17분류군(Kim 2019), 51분류군(Choo et al. 2022)의 외래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선행 연구 중 웅석봉군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된 SCO (2005)의 연구에서 웅석봉군립공원의 귀화율은 7.95%, 도시화지수는 6.30%로 산출된 바 있는데, 이를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면 금번 연구에서 귀화율과 도시화 지수가 약간 높게 나타나 지속적으로 외래식물이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객의 유입뿐만 아니라 임도와 산림간벌 등의 인위적인 활동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계교란야생생물이란 외국에서 유입되었거나 자생하는 생물 중 국내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을 말하며 (ME 2024c), 본 조사지에서는 환삼덩굴[Humulus scandens (Lour.) Merr.]을 포함하여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 (L.) R.M.King & H.Rob.],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Fig. 2F),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Table 8).

    환삼덩굴은 사방댐과 저수지 인근에서 군락을 형성하였으며, 서양등골나물은 산지가장자리에서 소수의 개체가 간헐적으로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단풍잎돼지풀과 돼지풀은 임도와 계곡 주변 개발지에서 연속적으로 분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생태계교란야생식물 2분류군(서양등골나물, 단풍잎돼지풀)이 새롭게 확인된 바 있으며 이 중 서양등골나물의 경우 소수의 개체가 간헐적으로 분포하여 현 시점에서는 교란 위험은 적을 것으로 보이나 빠른 생장과 많은 종자 생산으로 단시간에 폭발적인 개체수 증가가 가능한 분류군이기에 직접적인 제거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풍잎돼지풀은 임도와 개발지 주변에서 연속적인 분포를 보여 추후 인근 생태계의 교란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여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직접적인 제거 및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대응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적 요

    본 연구는 경남 산청군에 위치한 웅석봉군립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조사하였다. 2023년 4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총 11차례에 걸친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1과 288속 417종 11아종 30변종 3품종 등 총 461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멸종위기야생생물은 2분류군, 희귀식물은 6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9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총 69분류군으로, 등급별로는 V등급 2분류군,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1분류군, II등급 18분류군, I등급 33분류군이었다. 또한,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북방계식물 2분류군, 남방계식물 4분류군으로 총 6분류군이었다. 외래식물은 44분류군, 생태계 교란야생생물은 4분류군이었으며, 이에 따른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9.54%, 7.11%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는 웅석봉군립공원의 식물분포와 현황에 대한 기초자료로 공원관리 및 식물자원의 보전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연구는 2023년 상지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 및 상지대학교 대학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CRediT authorship contribution statement

    JE Park: Formal analysis, Investigation, Writing- Original draft. YJ Park: Investigation, Validation. H Kang: Investigation, Validation. HR Lee: Investigation, Validation. HK Kwak: Investigation, Validation. JK Seo: Investigation, Validation. HY Kim: Investigation, Validation. JE Choi: Investigation, Validation. KS Cheon: Conceptualization, Validation, Writing-Original draft, Writing - Review & editing, Project administration.

    Declaration of Competing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

    KJEB-43-3-197_F1.jpg

    Map of the boundary (red line), and survey routes (white lines), of Ungseokbong County Park.

    KJEB-43-3-197_F2.jpg

    Remarkable taxa in Ungseokbong County Park. A.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세뿔투구꽃, B. Kirengeshoma koreana Nakai 나도 승마, C. Corylopsis coreana Uyeki 히어리, 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F.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Table

    Investigated dates and routes of the survey area

    List of vascular plants of Ungseokbong County Park

    Summary of the floristics of Ungseokbong County Park

    Fam.: Family, Gen.: Genus, Sp.: Species, Subsp.: Subspecies, Var.: Variety, For.: Forma.

    List of the endangered species in Ungseokbong County Park

    *, Endangered species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List of the rare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 Rare plants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 CR, Critically endangered; NT, Near threatened.

    List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 Korean endemic plants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List of floristic regional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 Regional plants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List of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Ungseokbong County Park

    *,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List of alien plants and ecosystem-disturbing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PIP: potentially invasive plant, IAP: invasive alien plant, Arc.: archaeophyte, EDP: Ecosystem disturbing plant.
    *, Alien plants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Reference

    1. An HC and GC Choo. 2010. Vegetation structure of the Woong-seokbong in the Jirisan (Mt.). Korean J. Environ. Ecol. 24:547- 555.
    2. Choo YG, WY Jang, MS Lee, YJ Jeong, Dh Kim, JW Lee, ES Jeong, GC Choo and MH Kim. 2022. A study on the floristic of the Ungseokbong County Park, Gyeongsangnam-do - Case study of Baegun Valley - . J. Korea Soc. For. Eng. Technol. 20:114-130.
    3. Chung GY, HD Jang, KS Chang, HJ Choi, YS Kim, HJ Kim and DC Son. 2023.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II. Korean J. Pl. Taxon. 53:79-101.
    4. EKC. 2024.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eongnam, Korea.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351. Accessed February 8, 2024.
    5. Im HT. 1999. Flora of Korea and the role of floristic study. Korean J. Pl. Taxon. 29:275-284.
    6. Jang CG, YY Kim, SJ Ji, EM Ko, JC Yang, CS Jang, JA Eom, CY Yoon, CS Chang, CH Lee, KS Kim and BU Oh. 2007. The floristic study of Chiri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37:155-196.
    7. Kang ES,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89-119.
    8. Kang H, YJ Park, SM An, YB Lee, HR Lee and KS Cheon. 2022.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injosan Mt. (Uljin-gun, Gyeongsang-buk-do). Korean J. Environ. Biol. 40:11-24.
    9.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63-198.
    10. Kim HW, EM Sun, KH Lee, JS Lee, BK Park, TY Choi and SR Lee. 2020. Floristic study of Hwangmaesan Mt. Korean J. Pl. Taxon. 50:199-226.
    11. Kim JH, SW Kwon, SA Park, N Yun and BM Nam. 2024. Floristic study of Sonjukdo Island (Yeosu-si), Korea. Korean J. Environ. Biol. 42:28-45.
    12. Kim JS, JM Chung, SY Kim, JH Kim and BY Lee. 2014. Phytogeographic study on the Holocene hypsithermal relict plant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4:208- 221.
    13. Kim MS. 2019. Vegetation structure and flora of the Mageundam Valley in Sancheong-gun. M.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Korea.
    14. Kim SC, BJ Park and CH Yoo. 2007. User’s impact and deteriorated condition of trail in Ammai Peak, Maisan Provincial Park. J. Korean Inst. For. Recreat. 11:17-22.
    15. Kim SR, RH Jang, JH Tho, MH Kim, SW Choi and YJ Yoon. 2023. Study of the derive of core habitats for Kirengeshoma koreana Nakai using HSI and MaxEnt. Korean J. Environ. Ecol. 37:450- 463.
    16. KMA. 2024. Weather Informat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https://www.weather.go.kr/w/obs-climate/climate/statistics/regional-char.do?area=7. Accessed February 21, 2024.
    17. KNA.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18. KNA.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19. KNA. 2021. The National Red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20. KNA. 2024.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Accessed July 1, 2025.
    21.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Ha). Hyangmunsa. Seoul, Korea.
    22.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Sang). Hyangmunsa. Seoul, Korea.
    23.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24. Lee YM, SH Park, SY Ja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25.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 (I).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26.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 (II).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27. ME. 2002.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Jirisan Cheonwangbong Peak (1915 m) and Flora of nearby mountains.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28. ME. 2019.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conservasion and use of biological diversity [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cation 2019-100 (2019. 6. 13)].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79312#J536941. Accessed July 2, 2025.
    29. ME. 2024a. 2024 Province·County Park Basic statistic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30. ME. 2024b. Enforcement Decree of the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Ministry of Environment Ordinance 1102 (2024. 06. 28).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31. ME. 2024c. 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cation 2024-212 (2024. 10. 31). Designation and Notification of Ecosystem Disturbing Plant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32. Min SH. 2018.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among in Yeonhwa Provincial Park. M.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Korea.
    33. NIE.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34. NIE. 2019. A Guide to the 5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35. NIE. 2021. Study on Analysis of Core Habitats for Endangered Species: Naemorhedus caudatus, Nannophya pygmaea, Kirengeshoma koreana Nakai.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36. NIE. 2023. Endangered Wildlife at a Glanc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37.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38. Park BK, DC Son and SC Ko. 2020.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Gibaeksan Mt. County Park and mountains neighboring the park. Korean J. Pl. Taxon. 50:166-198.
    39. Park C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 238.
    40. SCO. 2005. Ungseokbong County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Sancheong County Office. Sancheong, Korea.
    41. SCO. 2017. Sancheong-gun Environmental Preservation Plan (2017-2026). Sancheong County Office. Sancheong, Korea.
    42. SCO. 2022. Sancheong County Office Basic Current Situation. Sancheong County Office. Sancheong, Korea.
    43. SKNP. 1985. Park resources and status of Woongseokbong - Vegetation and beautiful landscape of Jiri range -. A Society of Korea National Park. National Park 29:24-32.
    44.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 Peninsula. Korean J. Environ. Biol. 23:69-83.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